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상주낙상동, 구미시 주륵사지, 그리고 바로 경북 문화재자료 제283호인 봉화운계리폐탑(奉化雲溪里廢塔)이다. 온전하지 못한 석탑재들을 문화재로 지정한 것은 좋은 일인데 명칭은 폐탑보다는 ‘석탑재’ 등 다른 것으로 바꾸면 좋을 것 같다. 이 석탑재들의 주소지는 문화재청이나 봉화군청에 나오는 ‘상운면 운계리...
문화재? 문화재!!(2016-09-18 13:09:00)
있다 낙상동 폐탑과 더불어 상주시 연원동 사지에 흩어져 있던 석등 부재들과 용맹스러운 용의 얼굴과 거북이 몸통위에 세워진 비석은 승려들의 공적을 새겨 놓은 탑비塔碑인것 같았는데 비석에 새겨진 비문의 글씨가 흐릿하게 마모되어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했다 탑비塔碑 옆에 조성된 석각신장상 石刻神將像 신장상...
하늘 나그네(2022-07-20 05:30:00)
낙상동 폐탑은 낙상동 산95번지의 절골이라 부르는 곳에서 처음 발견되어 임시로 충의사로 옮겼던 것을 박물관으로 옮겨온 것이며, 탑재는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보여진다고합니다. 석등과 석탑 부재는 원래 신봉동 남산공원 내에 위치하였던 것을 옮겨온 것이라 하며,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보여진다고합니다. 상주...
우리들의 소소한 이야기(2015-08-10 00:00:00)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122. 금릉 서부동 폐탑 ( 金陵 西部洞 廢塔 ) [경북 문화재자료 제122호] 국유 / 소 재 지 : 김천시 개령면 서부리 501-3 금릉서부동폐탑 서부동마을 인근의 호두산(虎頭山) 아래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탑의 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으나 폐탑으로 부재가 흩어져 있던...
송풍수월 (松風水月)(2013-06-30 07:27:00)
조선 후기에는 영남학파의 학문이 더욱 번성해 이준(李埈)·홍여하(洪如河) 등의 학자가 배출되었다. 그래서 도남서원(道南書院)을 비롯한 많은 원사(院祠)가 건립되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시에 상주목은 상주군으로, 함창현은 함창군으로 되었다. 또한, 개화운동이 전개되면서 군수 이인용(李寅用)과 유지들에 의해...
inpung4957님의블로그(2016-08-26 14:12:00)
조례참조] ■낙상동[ Naksang-dong , 洛上洞 ]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동. 조선 후기 상주군 내북면(內北面)에 속한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절터가 있으며, 문화재로는 상주 낙상동 폐탑(경북문화재자료 127)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부재중일수 있으니...
참 좋은 인연(2022-11-29 13:3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