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양동 석조귀부 지도 이미지

무양동 석조귀부 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무양동 석조귀부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2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문화유산자료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거동동 산99-10
지정일자
1985-08-05
소유주체구분
국유
규모
1기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석조귀부가 원래는 무양동 1-1번지(비석거리)에 있었으나 현 위치로 이건 하였지만 그 시기는 알 수 없다. 조각이 온화한 감을 주며 윤곽은 둥글고 높은 편이다. 귀갑문과 배면상에 연화좌와 장방형의 비좌만을 조각한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전기에 유행했던 수법으로 보인다. 이 석조귀부는 본디 무양동 1-1번지에 있던 것을 현 위치로 옮겨 놓았다. 조선기의 것으로는 상태가 완전하며 거귀부(巨龜趺)다. 비석과 이수(이首)는 없어졌으나 화강석에 조각한 귀부로서 윤곽은 둥글고 높은 편이다. 표현이 온화한 편이며, 귀갑문(龜甲文)이나 절육표현(絶肉表現)은 없고 배면상(背面上)에 연화좌 표현은 조선 태조 헌릉비나 영암(靈岩) 도갑사(道岬寺) 도선국사비, 삼전도비(三田渡碑) 등의 조선 전기에 유행하던 수법을 보이고 있다. 전장은 190cm, 최대 폭은 160cm, 전고 990cm, 비좌장 124cm, 비좌폭 57cm 등으로 원래는 상주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 비석거리에 있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32-7789
관리기관명
허브나라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 무양동 석조귀부 | 如一同行 백 열두번째 - 상주

    보물인 석조천인상은 1980년 보물로 지정된 화강암 판석 2매에 각각 부조되어 있는 공양상과 주악상으로, 원래 상주시 남성동 용화전에 있던 것인데, 1982년 남산공원으로 옮긴 후, 2007년에 상주박물관에 옮겨왔다고 한다. 화강암의 넓은 돌에 높이 1.27m의 주악상과 1.23m의 공양상을 새긴 것으로 주악상은 왼쪽을...

    세종해피뉴스(2023-05-22 17:20:10)

  • 무양동 석조귀부 | 경북 문화재자료 [제121호 ~ 제150호]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122. 금릉 서부동 폐탑 ( 金陵 西部洞 廢塔 ) [경북 문화재자료 제122호] 국유 / 소 재 지 : 김천시 개령면 서부리 501-3 금릉서부동폐탑 서부동마을 인근의 호두산(虎頭山) 아래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탑의 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으나 폐탑으로 부재가 흩어져 있던...

    송풍수월 (松風水月)(2013-06-30 07:27:00)

  • 무양동 석조귀부 | 경북 상주 상세설명....

    조선 후기에는 영남학파의 학문이 더욱 번성해 이준(李埈)·홍여하(洪如河) 등의 학자가 배출되었다. 그래서 도남서원(道南書院)을 비롯한 많은 원사(院祠)가 건립되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시에 상주목은 상주군으로, 함창현은 함창군으로 되었다. 또한, 개화운동이 전개되면서 군수 이인용(李寅用)과 유지들에 의해...

    inpung4957님의블로그(2016-08-26 14:12: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