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사진 추원재 위쪽에 있는 앙소정을 옆으로 산길로 들어섭니다. 숲길을 걷나 싶었는데, 마을 위 언덕에 작은 공원을 조성해 놓았군요. 마을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공원 정자에서 잠시 쉬며 아래 보이는 영빈서당에 관한 이야기를 듣습니다. 1688년에 지어졌다고 하는데요. 지금은 너무나 쇠락한 모습에 모두들 안타까워...
문경시도시재생지원센터(2025-05-22 15:28:00)
大夫) 상주국좌승상(上柱國左丞相)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이와 같은 고위직 역임은 단순히 왕족의 후예라는 혈통적 명예를 넘어, 실제로 고려 정부 내에서...이규헌(李圭憲)의 감독 아래 후손들이 재조명하였으며, 보본단(報本壇), 추원재(追遠齋) 등 사우와 재실도 함께 조성되었다. "삼척은 곧 실직이며, 실직은...
뿌리 성씨 이야기(2025-08-07 08:21:07)
지정되었으며 상주주씨 문중이 소유하고 있다. 조선 선조(宣祖) 때 주이(周怡)가 예안 현감을 사직한 뒤 많은 제자들을 길러낸 곳이라고 전해진다. ‘중수기(重修記)’에 있는 숭정연호(崇禎年號)로 미루어 인조(仁祖) 재위 시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후손들이 주이의 덕을 기리기 위해 다시...
필산의 山中四季(2024-08-05 14:59:00)
나중에 소론으로 갈라져 나갔다. 영남 출신이었지만 소론을 했기 때문에 조선 후기에도 계속 벼슬이 끊이지 않았던 것이다. 약봉 자손 중에 대과 급제자가 123명...바로 버저이 강씨다. 역암 강진규의 후손들이다. 진주 강씨의 재실인 추원재 그 밖에 상주 봉대의 강씨들이 또 노론 집안이었다. 일명 '봉대 강씨'라고...
vagahong님의 블로그(2024-08-09 12:01:00)
묘소를 지키고 제사를 올리기 위해 아들 홍순학(1897~1964)이 1945년 건립 추원재. 위창 오세창 글씨 안동시 안막동 안동 권씨 부호장공파 성곡문중 현판 화수당...길암면 묵계리 보백당 종택 만귀산방 성주군 만귀정 현판 만귀정 조선후기에 공조판서를 역임한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1)가 만년(1851년)에...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3-11-27 07:00:50)
2 추원재, 박사경 24) 영릉(세종대왕, 소현왕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901-3 25) 택풍당 - 덕수이씨 이식묘: 양평군 양동면 쌍학리 285 (정승 3명배출, 100여명의 급제, 율곡 이이, 충무공 이순신) [강원지역] 26) 신숭겸묘: 춘천시 서면 방동리 평산신씨 시조, 왕건의 자리 27) 준경묘: 삼척시 미로면 활기리 92...
#담양군 #노인복지타운 #풍수지리 #태공작명 철학관(2024-11-11 13:47:00)
세거 성씨. 군위방씨는 본래 온양 방씨에서 분관한 성씨이다. 온양 방씨는 당나라 때 한림학사를 지낸 방지方智가 신라에 문화 사절단으로 온 뒤 귀화하여 상주에 정착하면서 시작된다. 용암면 사곡리 - 군위방씨, 방계관의 추원재(追遠齋) 블로그 軍威 法住寺掛佛圖 (군사 군, 위엄 위, 법 법, 살 주, 절 사, 걸 괘...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6-07 16:19:00)
있다. 상주·문경 지방에서 유행한 단층기단 양식으로 이루어졌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물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탑의 전면에는 한천이 흐르고 있으며, 뒷면에는 흑응산이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탑과 불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절터였음이 분명하지만, 절 이름은 알 수 없다. 기단부(基壇部)는 윗층...
바롱이와 떠나요!(2024-01-12 06:11:01)
상주추원재→굴다리→막구리산→새잼이산→예쁜카페꽃향기→대조못→대조2리(새사오개) 9. 특징 은점(銀店) 은광을 말하는 것으로 문경/상주의 은점산을 삥 둘러 임도가 개설되어 있다. 문경시 가은면의 불절이 저음리 갈전리 수혜리 그리고 상주시 이안면의 구미리 안룡리 등으로 연결이 된다. 점촌을 사기그릇 가게가...
인생은 0(2025-04-02 07:20:04)
묘, 상주목사 權執經(권집경) 묘, 직제학 權克恕(권극서) 내외묘, 안동김씨 시조단소 등 몇 기뿐이다. 이는 고려 시대의 양식이라 전하고 있다. 이 외에는 원형...시대에 김, 장 양 태사공의 묘도 문헌상으로는 명기되어 있어도 조선후기에 다시 찾은 것이니 역시 봉분의 형태를 고증할 수가 없다. 다음으로 충렬왕 26년...
청남 권영한의 전통가훈 명언명구와 서예(2023-10-05 07:4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