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지도 이미지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1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문화유적지정번호
지방유형문화재 제134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동산문화재
소재지도로명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
소재지지번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17-31
지정일자
2001-12-29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월정사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18세기 후반 불화의 전형적인 특징을 잘보여주며, 화기에 의해 정확한 제작연대와 작가를 알 수 있음
관리기관전화번호
033-339-7000
관리기관명
월정사
데이터기준일자
2025-06-20
제공기관코드
4,281,000
제공기관명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블로그 리뷰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일상 | Day1-(2) 법주사 템플스테이 1박 2일: 템플스테이 첫째 날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이, 그 뒷벽에 걸려 있는 5폭의 후불탱화는 보물 제1259호 대웅보전 후불도이다. ​ 법주사원통보전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금동미륵대불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 법주사석련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9 법주사마애여래의상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Keep Going(2025-09-21 17:48:00)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암자 순례 쉰여덟번째, 안성 천년고찰 백운산(고성산) 운수암~고색찬연한 절 도깨비 촬영지 서운산...

    중앙에는 비로자나부처님(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석불이 앉아 계시는데 화강암으로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 그리고 좌우에는 신중탱화와 현황탱화, 현황탱화 앞에는 작은 석상이 있는데 민머리에 약함 비슷한 것을 들고 앉아 계신답니다. 그리고 그 옆으로는 창건주인 장씨보살 진영이 있습니다. 운수암 비로자나불좌상...

    인덕원이소장, 정 부동산(2025-09-17 17:09:00)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경북팔경 상주 노악산 남장사의 수줍은 가을 빛/상주가볼만한곳

    보광전의 후불탱화로 사용되고 있다. 길쭉한 나무판 8장을 연결하여 연꽃 위에 앉아있는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 4단씩 3열로 10대보살과 10대제자, 사천왕을...없다. ​ 명문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으로 회화적이면서도 조각적인 매력을 간직한 귀한...

    최만호 로드그랩(2025-10-13 11:27:00)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사찰 순례(山寺巡禮) 《28》 선운사(禪雲寺)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물 1752호 대웅보전에는 석가여래 삼존상인 약사여래, 석가여래, 아미타불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나 비로자나불을 모셨고, 지권인도 보통과 살짝 다르다. 선운사 대웅보전 석가여래상. 대웅전 오른쪽 전각들을 먼저 살펴보자. 관음전, 지장보궁을 비롯한 성보박물관과 요사채가 있다. 지장전을...

    방랑산천(2025-09-29 16:17:00)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1,400년 역사의 천안 광덕사

    바뀌었다. 비로자나 삼존불 우측에 안치된 또 하나의 비로자나불은 수인 형태를 달리하여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싼 모습을 하고 있다. 누각 통로 계단 난간 좌우에 날카로운 송곳니를 가진 해태가 기왓장에 싸인 채 보화루를 바라보며 세워져 있다. ​ 원래 이 자리에 돌사자가 있었는데 도굴범의 손길을 피해 대웅전...

    유적을 찾아(2025-07-26 01:52:45)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출렁다리가 보이는 여주 신륵사 한 바퀴

    조성한 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과 홍의룡(洪義龍)이 죽은 딸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조성한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 그리고 강부인(姜夫人)이 시주를 얻어 조성한 문수보살상(文殊菩薩像)을 봉안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배불정책으로 이 절 또한 크게 위축되었다. 그러나 광주의 대모산(大母山)에 있던 영릉(英陵)이...

    100대명산과 함께 하는 새로운 하루(2025-07-23 15:54:11)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고창 도솔산 선운사兜率山禪雲寺 만세루萬歲樓•대웅보전大雄寶殿...

    뒤의 후불벽화는 1688년(숙종 14)에 조성한 중앙의 비로자나불회도를 중심으로 좌우에 아미타회상도와 약사회상도가 각각 자리 잡고 있다.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보통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광명의 부처이다.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은 중생의 모든 질병을 고쳐 주는 부처이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은 괴로움이 없는...

    소이부답 笑而不答(2025-09-29 12:25:00)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불전(佛殿)과 가장 큰 소조(흙) 삼신불이 계시다. - 법주사 2편

    내부 탱화가 1991년 조성되어 이 시기에 함께 건립되지 않았나 합니다. 삼성각(독성탱 칠성여래탱 산신탱) 내부에는 독성탱과 칠성여래탱 그리고 산신탱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 명부전 ​ 법주사에는 오래전부터 지장보살을 모신 지장전이 있었으나 20세기 초에 사라지고 2003년 재 건립되면서 명부전이라 하였습니다...

    travel6265님의 블로그(2025-09-03 17:51:00)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 고창 선운사 ] 사찰 기행 (1) - 기품있는 남도 사찰의 진수

    있어 비로자나 삼불상의 도상연구에 기준이 된다. 그리고 1633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와 17세기 전반기의 대표적 조각승 무염과 그의 문하승(門下僧)에 의해 제작되었다는 정확한 조성주체가 밝혀져 있고, 대형의 상임에도 불구하고 조각적·종교적 완성도가 높은 우수한 작품이다. - 사찰 해설 ​ ​ 《선운사》 『영산전...

    인디안밥(2025-09-01 06:31:00)

  •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 | 서울가볼만한곳 힐링하기 좋은 서울 사찰 봉은사에서 불교 명절인 백중 알아보기

    판전은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시고 있으며 1855년 남호 영기 스님과 추사 김정희 선생이 뜻을 모아 판각한 화엄경 소초 81권을 안치하기 위하여 지어진 전각이라고...1992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 글씨는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 추사 김정희가 1856년(철종 9)에 썼습니다. 판전은 1856년 새겨...

    놀멍쉬멍 제주이야기 green(2025-09-04 08:0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