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화상이 삼척부사 심공저의 지원을 받 아 중수했는데, 장대석(長臺石)을 3겹으로 다진 기단 위에 자연석 주춧돌을 두고 둥근 기둥을 세웠으며, 측면 벽 상부에는 풍판(風板)을 둔 2고주 5량 구조이다. 기둥은 민흘림으로 전,후 기둥은 평주(平柱)이고, 측면과 가운데의 네 기둥은 고주이며, 건물 내부 가운데에 2...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2025-03-24 10:59:25)
조선 후기 불교 신앙을 잘 나타내주는 대표적인 불화 중 하나로 야외 의식 때 사용하기 위해 걸어두는 대형 불화이다. 부처를 내건다는 뜻이 있으며, 괘불대에...의하면 야외에서 치루는 의식에는 항상 그림을 두고 진행한 것으로 보이며 괘불화가 제작되기 전에는 전각 내에 있는 후불탱화를 꺼내서 사용한 것으로...
결이음(2025-05-26 06:44:02)
비교해가면서 볼 수 있어서 더 좋았음... 삼척 신흥사...응?? 울산바위 근처에 있는 신흥사?? 그리고 15cm의 자그마한 사이즈의 금공반가사유상도... 영은사 괘불은...국립중앙박물관의 불교미술관에서 본 것 같음... 불교미술관에서는....정기적으로~~~ 각지의 괘불을 교차전시하기 때문에...다른 기획전을 보러 갔다가...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ㅋㅋ(2025-08-14 16:24:00)
는 성스러운 보물이라는 뜻. 많은 것을 보여주기 보다는 엄선된 것을 보여주는 전시 방식이라 집중하여 살펴보게 되었다. 삼척 영은사 괘불(掛佛) 중앙에 걸린 괘불은 크기가 엄청난데 조선 후기에 9명의 화승(畵僧)이 공동 제작한 것이라고 한다. 삼척 영은사에서 봉안된 야외 법회 때 사용한 괘불(掛佛)로 석가여래...
지피(2025-06-27 01:18:00)
185호 삼척 영은사 불연 조선시대 후기 / 1761년(영조 37년) 월정사 성보박물관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로 176 월정사 성보박물관 월정사 성보박물관, 왕조실록·의궤 박물관 wjssm.kr 관람안내 | 월정사 성보박물관 관람안내 찾아오시는길 시설안내 시설대관 안내 전시해설 안내 문수보살의성지에 건립된 월정사...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5-05-11 21:44:00)
특별전(2023년) https://12977705.tistory.com/8728312 영은사 괘불 조선후기 영산회상도 속 석가여래는 설법인 대신에 성도를 상징하는 항마촉지인을 짓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영은사 괘불도 이 계통을 계승한 도상이다.중앙에는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여래가 크게 그려져 있는데 좌협시인 문수보살은 여의(如意)를 들고...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4-10-29 06:24:45)
조선 후기의 사고지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물, 불, 바람의 침입을 막는 곳으로 알려져 있었죠. 1606년에 건립된 영감사는 현재는 주춧돌만이 남아...푸른 침엽수립으로 둘러싸여 고요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영은사괘불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재가 전시되어 있으니 함께 구경하면 더욱 좋을 것 같아요...
숨은 명소 여행사전(2025-02-18 19:30:00)
소개되어 있었어요. 각 전패마다 기원하는 문구들이 쓰여있대요. 삼척 영은사괘불 유물 번호 : 성보-0011 지정번호 : 도유형문화재 108 연대(시대) : 조선...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영산회상도이다. 조선후기 영산회상도 속 석가여래는 설법인 대신에 성도를 상징하는 항마촉지인을...
SUGAR, Yes Please!(2024-01-06 09:02:00)
조선후기 지장탱화 가운데서 구도의 특이함이나 시왕의 복색 등 여러 면에서 특색이 있는 작품으로 주목된다. 또한 1916년에 조성된 신중탱화 그 외에 현왕탱화, 그리고 근대의 화승(畫僧)인 금어(金魚) 만봉(萬奉)스님이 그리신 아미타 후불탱화, 감굴탱화가 봉안되어있다. 묘승전 묘승전 불단 왼쪽부터 지장보살...
정혜의 세상사는 이야기(2024-06-16 19:42:00)
1856년 삼척 영은사에 봉안된 야외 법회 때 사용한 괘불로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영산회상도라고 합니다. 국보 제221호인 상원사 문수동자상 귀중한 자료로 알려져 있는 복장 유물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고 했는데 그건 못 보고 문수동자상만 사진을 찍어왔어요. 평창 월정사...
쟁토리의 다락방(2024-02-04 14:51: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