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조선 고종 2년(1865)에 찍어낸 인쇄본인 팔만대장경을 비롯해 삼척 영은사 괘불, 영원사 목불 좌상 및 복장 유물 일괄,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 석가여래 좌상 및 복장 유물, 운흥사 목조 아미타불 좌상 및 복장 유물, 용다사 동종, 영원사 비로자나불후불탱화, 영원사 감로탱화, 구룡사 삼장보살도 복장 유물, 운수암...
우리 다 모두(2025-10-21 00:59:00)
조선 후기 이익공 양식이지만, 내부 건물은 조선 초·중기의 건축물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공안 및 모각소로. 건물 뒤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탑이 있다. 중대 사자암 적멸보궁 불탑. 사자암에서 내려오는 도로 양편에도 전나무들로 가득하다. ▶ 오대산 북대 미륵암 상원사 주차장 다리 건너 북대 가는 길...
방랑산천(2025-08-05 21:05:00)
梵天 및 天部衆이 배치되었다. 오대산사고와 사명당 오대산사고는 1606년 건립된 지방사고로 사명대사가 임진왜란 전 월정사를 중수하기 위해 주석했던 영감사에 설치되어 사고 입지 선정에 대사의 추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왔다. 대방광불화엄경 조선 후기 대방광불화엄경 소초 조선 후기 강원도 유형문화유산...
산돈과 꿈꾸는 방(2025-10-14 23:43:00)
조선후기 영산회상도 속 석가여래는 설법인 대신에 성도를 상징하는 항마촉지인을 짓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영은사 괘불도 이 계통을 계승한 도상이다. (성보...설명) * 괘불: 야외 법회 때 걸어두는, 부처님 모습을 그린 그림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 지장삼존 불감 * 불감(佛龕) : 이동하면서 불공을 드리기...
지피(2025-06-27 01:18:00)
<2022년 1월 15일>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1호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조선시대 중기 / 1710년(숙종 36년)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1호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月精寺 北臺 孤雲庵 木造釋迦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분...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3-08-18 20:41:00)
초입 월정사에서 중대사자암으로 가다가 우측의 경사진 석축을 따라 올라가면 우측에 공사가 거의 끝나고 마무리 단계에 있는 안초당(安艸堂)이 들어서 있고...기둥에는 상원사 지혜수, 중대 옥계수, 동대 청계수, 남대 총명수, 북대 감로수, 서대 우통수라고 쓴 한강 시원지 팻말이 걸려있다. 요사채 현대식 콘크리트...
세월은 흘러 유적을 남기고(2025-10-04 13:38:00)
금성당(金聖堂) 등 도합 22기(基)인데 크기는 높이 1∼2m내외로 조선중기 이후의 부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월정사북대고운암목조석가여래좌상및복장유물(月精寺北臺孤雲庵木造釋迦如來坐像및腹藏遺物)은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상...
내맘대로 자유롭게 떠나는 여행(2023-12-06 09:39:54)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1호 _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석가여래좌상및복장유물 (月精寺北臺孤雲庵木造釋迦如來坐像및腹藏遺物) 수 량 : 일괄 지정일 : 2001.12.29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시 대 : 조선 숙종 36년(1710)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이 불상...
기리여원(2021-08-08 08:39:31)
효명은 북대(北臺) 남쪽 산 끝에 푸른 연꽃이 핀 것을 보고 암자를 짓고 살았다. 이 두 형제는 예배하고 염불하면서 수행하고 오대에 나아가 항상 공경스레 예배를 드렸으며, 날마다 이른 아침에 골짜기의 물을 길어다 차(茶)를 달여 1만 진신(眞身)의 문수보살(文殊菩薩)에게 공양하였다. 마침 신라의 왕이 죽자 나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ㅋㅋ(2025-08-13 13:24:00)
48호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과 유사한 형식으로 불기 2531년 (서기 1987년) 1월 3일 시공하여 불기 2534년 (서기 1990년) 3월 15일에 완공하였다. 발심 서원 한 백창기 부부의 단독 사주로 이뤄졌다. 팔영루 八泳樓 범종루 梵鐘樓 하동 쌍계사 대웅전 河東雙磎寺 大雄殿 보물 쌍계사 대웅전은 진감 선사가 신라 문성왕...
소라니(2025-05-27 04:43:13)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