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2023년 11월 18일>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2호 운흥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복장유물 회암사판 묘법연화경 조선시대 중기 / 1659년(현종 즉위년)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2호 운흥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복장유물 (雲興寺 木造阿彌陀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3-12-02 23:24:00)
조선 고종 2년(1865)에 찍어낸 인쇄본인 팔만대장경을 비롯해 삼척 영은사 괘불, 영원사 목불 좌상 및 복장 유물 일괄,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 석가여래 좌상 및 복장 유물, 운흥사 목조 아미타불 좌상 및 복장 유물, 용다사 동종, 영원사 비로자나불후불탱화, 영원사 감로탱화, 구룡사 삼장보살도 복장 유물, 운수암...
우리 다 모두(2025-10-21 00:59:00)
간직하고 있습니다. 3.1. 불교 및 고대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 문화유산 명 지정 현황 특징 및 역사적 가치 인제 백담사 목조아미타불 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유물(발원문 등)을 통해 제작 시기 및 역사적 배경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습니다. 인제 한계사지...
라킬프에21 님의 블로그(2025-10-04 04:00:56)
귀중한 유물이다. 높이는 154㎝, 입술 지름은 101.5㎝(1구)이며, 무게는 약 900㎏이다. 쌍용으로 정상에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음관(용통)을 두지 않고 조그마한 운형 구멍으로 대신하고 있다. 천판은 이중의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는데, 상단은 16엽이고 하단은 활짝 핀 무늬이다. 그 밑으로 보이는 상대에는 범자문...
걸림이 없는 삶님의 블로그(2025-09-29 10:10:00)
미리보기 충남 공주에서 보물찾기 보물 -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오늘여기클립 #클립챌린저 #공주여행 #공주동학사 #공주가볼만한곳...유리광 세계의 부처님으로, 병을 고치고 중생을 구제하는 부처입니다. ㆍ 아미타불 서방 극락세계의 부처님으로, 죽은 이들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부처입니다...
충청남도 보물찾기 레이스(2025-05-19 23:39:00)
등 총 9건(633점)으로, 수습한 불서들은 임란 이후 간행되었고, 현전본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어 일괄 지정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한다.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과 복장유물은 조성시기가 명확하고 그 예가 드문 관음·용왕·선재동자의 삼존상이라는 점에서 조선후기 불상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므로 서울특별시 유형...
인기 여행 중(2025-06-28 00:10:00)
할 당시 불상의 내부 에 봉안되어 있던 복장 유물이 발견 되었으나 발원문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웅전 아미타여래삼존불 대웅전 후불탱화. 아미타불도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26호.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 120호 (팔상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13호 (괘불도) 아미타불을 상징하는 제...
이은욱(2025-09-17 07:56:00)
아름다우며, 내부에는 귀중한 불상과 탱화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강원도 유형문화재) 극락보전 안에 모셔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영월 보덕사 석조여래좌상 (2014년 지정)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2001년 지정) • 영월 보덕사 지장시왕도 (2020년 지정) • 금몽암...
여행 같은 일상을 꿈꾸며(2025-10-19 13:21:00)
석불좌상 안정사 특별전 영산회괘불탱(모본). 1702년 1702년 광흠(廣欽)이 수화승을 맡아 홍특(弘特), 각환(覺還)과 함께 제작하였고, 1934년 계홍(戒弘)이 중수...입상을 가득 차게 배치하고, 석가모니불의 두광 좌우에 다보불과 아미타불을 그리고 불제자 아난과 가섭을 작게 그려 넣었다. 안정사 영산회괘불도를 제작...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5-10-17 07:13:02)
까지 운흥사, 삼원사, 선구사, 영취사로 불리다가 1783년에 설악산 대청봉에서 백담사까지 웅덩이가 100개가 있다 하여 백담사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건립 이후 십여 차례 소실되었다가 1957년에 재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고, 가야동 계곡과 구곡담을 흐르는 계곡물이 합쳐지는 백담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외설악에...
불가불 우연이 아닌 필연으로 ..(2025-10-07 19:2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