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2023년 11월 18일>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3호 용다사 동종 조선시대 후기 / 1878년(고종 15년)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3호 용다사 동종 (龍茶寺 銅鐘) 분 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2001.12.29 소 재 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3-12-02 23:28:00)
영산전 석가삼존.십육나한상 및 권속(조선후기 1711년 제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상원사 영산전 나한도(조선후기 1888년) 상원사 영산전 나한도(조선후기 1888년) 용다사 동종(조선 1787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용다사 동종(조선 1787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홍천 수타사 바라(조선...
산이 나를 오라하네(2023-09-27 13:15:00)
용다사 동종 소개 ◆ 교통정보 자가용이용 원주시외버스터미널 - 봉학사거리 횡성|원주IC 방면으로 좌회전(북원로) - 영동고속도로 원주IC삼거리 이후 약 11분...구룡사 ◆ 문화재 분류 유형문화재 제 133호 ◇시대 : 조선후기 동종 ◇내력 및 유물 현황 : 이 종은 1787년(정조 11) 화천 용화산 용다사(龍茶寺...
socho0201님의블로그(2021-06-08 14:22:00)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십육나한상 및 권속(조선후기 1711년 제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상원사 영산전 나한도(조선후기 1888년) 상원사 영산전 나한도(조선후기 1888년) 용다사 동종(조선 1787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용다사 동종(조선 1787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홍천 수타사 바라(조선후기...
산이 나를 오라하네 !!!(2023-09-27 13:15:30)
위 동종은 조선 시대인 1787년(정조 11년) 화천 용화산(龍華山) 용다사에서 처음 주성(鑄成)된 뒤 1878년(고종 15년) 양구 심곡사에 시주되었다가 이후 원주 구룡사가 보관해 왔습니다. 1977년부터 강원도 향토박물관에 전시되다가 1999년 9월 월정사로 옮겨져 현재 이 절의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종의...
입실론의 사부작사부작 여행기(2012-07-12 23:55:00)
조선 후기(18세기 이후) 것으 로 1706년에 만들어진 와당이 제일 오래된 것이다. 그러니 구룡사의 바램대로 신라는 커녕 고 려 때 지어졌을 가능성도 적어 보이며, 조선 초나 중기에 창건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 중기까지도 적당한 사적(事績)이 전해오지 않으며,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 圖書)에는 85칸...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2019-04-08 21:21:03)
이 동종은 정조11년(1787) 화천 용화사에서 처음 만들어진 후 고종16년(1879) 양구 심곡사에 시주되어 사용되었다. 그 뒤에 언제 옮겨졌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처음 만들 때의 것으로 1787년(건륭52) 낭천(지금의 화천) 용화산 용다사에서 주조한 사실을 가는 선(오른쪽 첫 2줄)과 점선으로 찔러 새겨(나머지 8...
왕마구리의 산행(2009-03-08 14:17:31)
조선종 - 후기 ; 1601년 ~ 1900년 가평 현등사소장 봉선사종 고견사 동종 파주 보광사 숭정칠년명종 대복사종 보은 중사자암 동종 무량사종 경주박 崇禎9년명 종 쌍계사 대웅전 신사3월명 종 용흥사 범종 마곡사 동종 순천 선암사 대각암 동종 흥국사종 포항 보경사 서운암 동종 서산 부석사종 홍천 수타사종 문경...
송풍수월 (松風水月)(2013-09-29 21:56:00)
조선후기 대표적 지리서인 「여지도서」강원도 원주 사찰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龜龍寺 八十五間 在雉岳山北 寺前有龍淵每當水旱有禱輒應”(사찰 전면에 용연이라는 우물이 있는데 아마도 이곳에 한 마리 용이 살았는데 가뭄이 들었을 때 이 우물에 기도하면 응험이 있었다)는 설화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시솔길을 함께 걸어보실까요?(2009-03-16 10:01:00)
박물관의 용다사 동종, 군부대의 1기 부도, 의선사 수조 등이 전한다. 목조아미타 삼존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좌우 협시로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며 법의는 변형된 통견의 이중착의법이다. 아미타불 나발, 중간계주, 정상계주를 표현하였고 상호는 갸름하다.귀는 길어 어깨에 닿아 있고, 삼도는 생략되었다. 두 손...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17-08-28 07:57:1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