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 제목 : 월송정 [ 月松亭 ] • 작가 : 정선 (鄭敾, 1676~1759) • 호 : 겸재 (謙齋) • 제작연대 : 18세기 전반 • 재료 : 종이에 수묵(水墨) • 기법 : 지본...亭 ] " - 붓 끝에 머문 풍경, 사의(寫意)의 절정 1720년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 겸 문인인 정선(鄭敾, 1676~1759)은 한 점의 그림으로 조선...
휴식(休息)과 여유(餘裕)(2025-08-14 00:01:00)
산책 후기를 소개하려고 해요. 소나무숲과 맨발걷기 체험까지 가능한 울진 명소! 힐링 코스를 찾는 분께 좋은 정보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울진 가볼만한 곳 ‘월송정’ 정리 위치, 유래, 편의 정보 총정리 구 분 내 용 📍 위치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정로 517 🏛️ 최초 건립 고려 충숙왕 13년(1326), 박숙이 창건...
갯마을 소금빛 일기(2025-06-24 00:00:00)
영랑, 술랑, 남석, 안상의 유람지였다고 한다. 월송정의 명칭은 달빛과 어울리는 솔숲이라는 뜻(月松을 잘못 표기)에서 유래되었나는 설과 신선이 솔숲을 날아...평해황씨 가문의 시조단과 숭묘문을 둘러싼 멋진 소나무숲이 있다. 조선 후기 숙종 때, 우리나라 모든 황씨의 시조인 황락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평해황씨...
거가가(2025-08-02 14:48:00)
越松亭) 월송정 월송정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정로 517 🌟 요약 (포인트 설명) 역사성 고려시대 창건, 조선 중건, 20세기 복원 경관 해송 숲·백사장...금강회’가 신축했으나 형태가 달라 곧 철거 1980년 고려식 2층 누각으로 재복원, 현판에는 최규하 전 대통령 친필 --- 🌲 지명 유래 & 전설 **월송(月松...
찰나(刹那)(2025-07-15 07:30:00)
예전에는 이곳에 들러 놀고서 어지럽히고 가는이도 있었던 모양 입니다. 월송정(月松亭)의 마루 위에는 많은 편액들이 올려져 있어, 안쪽에 걸려있는 "월송정...한수추월(寒水秋月)의 현판과 함께 송환기(宋煥箕)의 글씨로, 조선후기의 문신인 송환기(宋煥箕,1728~1807)의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자동(子東) 호는 심재...
겨울섬(2019-05-13 19:08:09)
평해의 월송정(月松亭) 부근에 표착하였다. 그는 그곳에서 귀화하여 평해의 남쪽 언덕 미포(美浦)에 정착하여 터전을 잡았고, 그곳이 훗날 ‘구미진(丘尾津)’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구대림 이후로 세계(世系)가 실전되어 후손의 계보가 명확하지 않게 되었고, 오랜 세월 동안 전해 내려오던 기록도 소실되었다...
뿌리 성씨 이야기(2025-08-27 15:29:02)
조선 후기 신중도 가운데 28위의 신중을 한 화폭에 담아 구성한 불화로서 병풍을 배경으로 천룡과 천부상을 구분하여 권속을 배치한 공간미와 구도를 잘 살린 작품이다.[1] 이채색불화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19세기 신중도의 도상 연구에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 위키백과 - 직산2리 정거장을 지나 왼쪽으로...
산나드리(2024-09-25 05:23:00)
越松亭(월송정) 현판글씨는 1980년 경신년 성하(庚申年 盛夏) 대통령 崔圭夏의 글씨이다 安軸 詩(안축 시, 1287~1348) 事去人非水自東 (사거인비수자동) - 옛...지녔구려 丁卯年 12월 口口 金世豪 口口 吳玉鎭刻 * 안 축 (安 軸) 고려후기 지밀직사사, 첨의찬성사, 판정치도감사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본관은...
시원枾苑(2024-08-26 08:10:00)
오토캠핑장’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곳에서 월송정(月松亭) 입구까지 강변(江邊) 데크가 설치되어 있어, 아름다운 금강변(錦江邊) 풍광...立)의 위패를 봉안한 ‘강고사(江皐祠)’라는 사당이 있다. 지선정(止善亭)은 조선 후기의 학자 지선(止善) 오명립(吳名立:1563~1633)이 1614년(광해군 6...
행복한 사람(2024-07-30 19:38:00)
월송사(月松寺) 부근에 처음으로 지었다. 이 정자는 조선 연산군(1494∼1506) 때 관찰사 박원종이 중건하였으며 오랜 세월로 무너져 1933년 향인(鄕人)들이 다시...모습과 너무 달라 해체하고 1980년 지금의 정자로 복원하였다. 원래 월송정은 이곳에서 남서쪽으로 약 450m 떨어진 곳에 있었다. 월송이라는 이름이...
자연이 주는 감동 Beautiful Korea 구석구석 이곳에(2024-02-17 05:0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