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淡容亭)뿐만 아니라 ... blog.naver.com 이듬해인 1781년(22세) 5월에는 《화국삼사(花國三史)》를 짓고 나서 책의 첫머리에 연구(聯句)를 썼는데, “함벽(涵碧) 가물거리는 등불 사흘 밤에 / 모란 인사 백 년의 봄이라.”라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해 《화국삼사》를 지은 곳이 〈등함벽루기〉에서 말한 “한강 북쪽에...
두근두근 역사통(2025-07-21 15:20:00)
쓰기로 정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887년 3월 가까이 위치한 함벽정(涵碧亭) 터를 신학교 자리로 사들인 직후로 짐작할 따름이다. 1885년 경기 여주(당시...안채는 삼호정 공소(용산본당 전신) 경당이 됐다. 삼호정은 원래 조선 시대 후기 여류 시인들의 모임 공간으로 빼어난 경치를 자랑했다. 하지만 교회의 눈길...
빛(2024-11-13 14:09:59)
조선 후기의 우국지사(憂國之士)요 학자였던 매천(梅泉) 황현(黃玹, 1855~ 1910)이 어느날 함벽정에서 밤에 연회(涵碧亭夜讌)를 베푸는 자리에서 1888년(고종25) 그의 나이 34세 때 지은 시가 매천집 1권에 전하고 있어 이 이전에 처음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우산 모양 하늘 열리어 먼 들판 바라볼 제 처마 밑 등불...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4-24 15:57:00)
정(亭)을 고집하고 있어 칭 호와 겉모습이 완전 따로 논다. (1974년에 단청을 새로 했음) 땅바닥에 낮게 석축을 다지고 1.42m 높이의 화강암 돌기둥 28개를 세운 다음, 그 위에 누마루 건물을 올렸는데, 정면과 뒷면 가운데 칸에 통행 편의를 위해 돌계단을 늘어뜨렸으며, 누각에 어울리도록 건물 4면이 모두 뚫려있다...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2024-08-19 02:55:32)
유래가 깃든 곳이다. 벌판이 넓고 비옥한데다 양강 변의 수려한 절경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도 그의 저서 『택리지(擇里志)』에서 안동(安東)의 하회(河回...일대 강변에는 여의정(如意亭), 채하정(彩霞亭), 강선대(降仙臺), 함벽정(涵碧亭), 봉양정(鳳陽亭), 봉황대(鳳凰臺), 한천정(寒泉亭)과 같은 고졸하고...
여행천하(2023-12-22 08:17:00)
구역후기 송호국민관광지 야영장 송호관광지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송호로 105 야영장1박 15.000원 전기야영장 1박 20.000 📞 043-740-3228 📍🏕️ 충청북도 영동군...선녀가 목욕하는 것에 반하여 오르지 못하고 떨어졌다는 용암(龍岩), 박응종(朴應宗)이 말년에 후학을 가르쳤다는 여의정(如意亭)을 비롯하여 영국사(寧國...
Dear my land ൱(2023-10-30 07:38:00)
경내에 있는 영국사 삼층석탑은 보물 제533호라고 하며 현존하는 통일 신라 후기 탑 중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양산8경은 충북 영동...寧國寺)· 강선대(降仙臺)·비봉산(飛鳳山)· 봉황대(鳳凰臺)·함벽정(涵碧亭) ·여의정(如意亭)·자풍당(資風堂) ·용암(龍巖) 등 8개의 경승지라고...
푸른초장(草場)이야기(2023-12-15 07:30:00)
양산팔경중 제5경인 함벽정(涵碧亭)입니다. 정면 2칸, 측면 두칸의 목조기와 팔작지붕의 구조로, 호남지방에서 흔이 볼수 있듯이 가운데의 뒷쪽에 방을 들인...亭)의 현판을 볼수있으며, 방의 정면은 3짝문을 달았는데, 문으로 보아 조선후기의 양식으로 문짝을 들어올려 여름의 시원함을 즐겼으리라 추측해 봅니다...
겨울섬(2017-12-01 05:31:27)
익산 함벽정(益山 涵碧亭) ↝ 이 정자는 왕궁저수지가 준공된 1920년경, 이 고장의 부호였던 송병우가 주변의 빼어난 경치를 즐기기 위해 건립했다. 저수지 수문 옆 50여m 높이의 바위 위에 정자를 짓고 주변에 벚꽃 나무를 심었으며, 주변 연못에는 중국에서 들여온 하얀 연꽃을 심었다 한다. 푸른빛이 감도는 저수지의...
전국 지역별 관광&MTB 라이딩 안내(2024-08-03 17:14:24)
가장 많은 성지와 사적지들이 남아 있는 곳이다. 새남터의 저녁 풍경. 조선 후기까지 수목이 울창했던 이곳은 '용산 8경' 중의 하나로 꼽힐 정도였다. 그러나...되면서는 한국인 성직자를 양성하는 요람지인 신학교가 자리잡게 되었다. 함벽정(涵碧亭, 현 원효로 성심여고 위치) 터에 마련된 예수 성심 신학교와 예수...
요한의 사진이야기(2012-09-01 06:0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