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里 石造如來立像 (논할 론, 메 산, 큰 덕, 들 평, 마을 리, 돌 석, 지을 조, 같을 여, 올 래, 설 립, 모양 상) 논산시 부적면 덕평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불신佛身만도 195㎝나 되는 거대한 불상이다. 논산여행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 네이버 블로그 論山遯巖書院 (논할 론, 메 산, 도망할 돈, 바위 암, 글 서...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9-29 07:41:00)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 (宜寧菩提寺址 金銅如來立像) 금동불 82.03.04 통일신라 서구 14 조대비 사순칭경진하도 병풍 (趙大妃 四旬稱慶陳賀圖 屛風) 시대화...조선전기 영도구 20 박문수 초상(朴文秀 肖像) 초상화 06.12.29 조선후기 남구 2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하 1의1∼2, 2의1∼2 [大方廣圓覺脩多羅...
그린판다,부산이야기(2024-03-04 09:21:00)
신라 후기 불상의 양식을 보여준다 보물 제75호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昌寧 松峴洞 磨崖如來坐像) 통일신라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105-4번지 큰 바위에 앞면을 돌출되게 조각한 마애불(磨崖佛)로 바위 자체를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로 이용하고 있다. 보물 제76호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푸른하늘(2014-09-01 18:15:00)
한송사지(寒松寺址) 원래 한송사 절터에 전래되어 왔으나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한일 회담 후 반환되었다. 월정사나 신복사의 보살상과 비교해 볼 때 원통형의...위로 해서 검지만 펴서 발목 쪽으로 내려뜨렸다. 어깨에 걸쳐진 천의(天衣)가 두껍고, 옷주름은 크게 소략한 형식으로 접혀 있다. 금동관음보살입상 金銅...
韓氏아저씨블로그(2018-06-22 15:50:00)
한송사지(寒松寺址)에 있었는데, 지금은 강릉시립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강릉 석조여래입상(江陵 石造如來立像)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지정일 1984.06.02)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강릉시립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 중기 강릉 석불입상은 옥천동 민가에 있었던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
산길나그네가 찾은 옛님...(2020-01-26 17:09:32)
寺址 石造四面佛像) [ 보물 제121호 ] 등록일: 1963,01,21 / 시대: 통일신라 소재지: 경북 경주시 동천동 산4 / 소장자: 국유 / 관리자: 경주시 경상북도 경주...당당하고 굴곡있게 표현되어 있으며 손과 발 또한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좌우에는 다른 돌로 보살입상을 세워 놓아서 3존불의 모습을 띠고 있다. 동쪽...
송풍수월 (松風水月)(2011-12-17 11:39:00)
조선 후기의 시대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 건물인데 현재 기둥을 비롯한 많은 부분들의 목재가 썪거나 갈라져서 시급한 보수가 요구되는 상황으로 보여진다. 동재(東齋). 서재(西齋). * 논산 돈암서원(論山 遯巖書院. 사적 제383호).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에 위치하며 인조12년(1634년)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cds9494님의 블로그(2018-02-05 08:55:00)
槿花洞 幢竿支柱 ) 강원 춘천시 근화동 793-1번지 제77호 춘천 칠층석탑 ( 春川 七層石塔 ) 강원 춘천시 소양로2가 162-2번지 제78호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강원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376-26번지 제81호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 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 ) 강원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강릉시립박물관...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15-10-01 15:32:00)
고려후기의 금속활자 인쇄본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며, 또한 불교학의 교학적(敎學的)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신편산학계몽(新編算學啓蒙)”(보물 제1654호)은 원나라에서 수입한 산학서(算學書)로서...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2010-06-28 15:59:20)
보살입상 사이의 중간에 놓인 머리가 없는 좌불상은 온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불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보물 제72호 산청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山淸 斷俗寺址 東 三層石塔)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단속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Pandora(2020-01-27 13:06:48)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