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지도 이미지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문화유적지정번호
보물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동산문화재
소재지도로명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
소재지지번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17-31
지정일자
2014-01-20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월정사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 초기 불상으로 문수동자상과 나란히 봉안되어 있으며, 당대 보살의 양식 특징이 잘 표현 됨
관리기관전화번호
033-332-5057
관리기관명
월정사
데이터기준일자
2025-06-20
제공기관코드
4,281,000
제공기관명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블로그 리뷰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사찰 순례(山寺巡禮) 《11》 월정사·상원사

    조선 후기 이익공 양식이지만, 내부 건물은 조선 초·중기의 건축물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공안 및 모각소로. 건물 뒤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탑이 있다. 중대 사자암 적멸보궁 불탑. 사자암에서 내려오는 도로 양편에도 전나무들로 가득하다. ​ ▶ 오대산 북대 미륵암 상원사 주차장 다리 건너 북대 가는 길...

    방랑산천(2025-08-05 21:05: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 170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유물

    동산리17-16 ​ ​ ​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 170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유물 ​ 묘법연화경 권6 소 재 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로 176...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1] / 2025.05 <2025년 5월 4일>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 54호 팔만대장경 조선시대 후기 / 1865년(고종 2...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5-06-03 14:01: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2025. 06.07] 강원도 평창 당일여행 1. 상원사 문수동자와 상원사 동종이 있는 곳~~~

    모셔진 곳에서는 관광객들 들이닥치기 전에...아침 예불을 올리시는 스님이 계서서... 먼 발치에서 줌으로만 땡겨서 찍었고...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平昌上院寺木造文殊菩薩坐像및 腹藏遺物)’은 조선 1661년(현종 2)의 조성연대와 문수보살좌상임을 밝히는 발원문과 함께 많은 복장유물을 동반...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ㅋㅋ(2025-08-13 13:24: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보물 제181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181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상원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보살상. 내용 201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 1.2m. 상원사의 청량선원(淸凉禪院) 내 1466년(세조 12년)에 제작된 목조문수동자좌상(국보, 1984년 지정)과 나란히 놓여져 있다...

    산이 나를 오라하네(2023-09-26 18:24: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국가지정 보물)-월정사 성보박물관

    입었던 흔적이 있으며 뒷면에 '장씨소대(張氏小對)'라는 글씨가 적혀 있다고 하네요 ​ ~촬영 : 2023년 12월 중순~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사진출처 : 문화재청) 평창 상원사목조문수보살좌상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 2014년,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과 목조문수동자좌상(쌍쌍투)의...

    navykanggu님의블로그(2024-02-07 06:10: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오대산 상원사 그리고 문수동자

    石塔및光背) 상원사는 치악산 중턱인 해발 1,100m에 자리잡고 있어 높은 곳에 있는 절이다. 신라 때 무착선사가 창건했다고 하며, 꿩이 이 절의 종을 울려서...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지붕돌 받침이 간략화된 모습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짐작된다. 동쪽 탑 앞에는 석불의 것으로 보이는 광배(光背...

    수카 다르마(2024-08-10 07:00:23)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보물 793호] 평창 상원사 목조동자보살좌상 복장유물 (강원 평창군)

    세조12년(1466)에 둘째딸인 의숙공주와 그의 남편 정현조가 당시 임금인 세조 및 왕실의 수복을 기원하고 자신들의 득남을 위해서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불...문수동자상이 조성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 평창 상원사 목조동자여래좌상 복장유물 - 의숙공주발원문 (보물 793호) / 2023. 9. 28. 중수발원문...

    대한민국 문화유산 Database(2025-04-29 09:00: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2023년 6월 8일 강원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 성보박물관

    조선 후기 5대 사고 중 하나인 오대산 사고지 사람 다니지 않고 은밀하게 보관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였다고함. 최근 일본으로부터 환수해 온 조선 왕조실록과...있던 곳이다. ​ 사전조사하다 여러가지 많은 뒷이야기를 읽었다. 문화재 환수 및 보관, 박물관 건립과정, 전시과정 등등 ​ 원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쭈메이 여행놀이방(2023-09-08 01:07: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사찰여행] 평창 월정사 -> 상원사

    좌상(보물) 보물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 국가유산포털 - 문화재청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平昌上院寺木造文殊菩薩坐像및 腹藏遺物)’은 조선 1661년(현종 2)의 조성연대와 문수보살좌상임을 밝히는 발원문과 함께 많은 복장유물...

    생존 기록(2024-06-15 21:43:00)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강원도평창_오대산상원사 월정사

    상원사 목조문수동죄상 복장 사리 강원도 오대산 조선왕조실록 사고(五臺山史庫) 정의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북쪽 10리 남호암(南虎巖) 기슭에 있었던 사고. ​ 내용 ; 외사고(外史庫)로서 오대산사고가 설치된 것은 1606년(선조 39)이었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1605년 10월에 재 인쇄된 실록의...

    양촌재의 행복갤러리(2025-07-22 15:1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