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조선 후기에 이르러 내시라는 용어가 정착되어 갔다. 봉분 없고 비석 지워진 허망한 무덤들 초안산 탐방의 시작은 수국정원에서 시작했다. 산을 얼마 오르지 않았는데 망주석, 문인석, 동자석, 비석 등 석물들이 눈에 띄었다. 망주석은 묘를 쉽게 찾도록 세운 표지석인데, 마치 영혼이 길을 잃지 않도록 횃불처럼 서...
김인숙(2025-06-19 10:04:26)
978년 개성에서 사망(81세), 경주에서 장례를 치르지 못하고(민심 동요 가능성?) 여기 묻힘 신라 왕릉 중 유일하게 경주 아닌 곳에 있는 무덤 성씨 얘기는 쫌...릉이 있는데 역시 출입금지 ㅜㅜ (할 수 없이 자료화면 소환) 뭐, 조선왕들 무덤과 크게 다르지 않군... 출처 : 국가유산청 이런 구조 ※ ⑧이 중요! 곡장...
부기부집(2025-07-29 12:17:00)
노한(盧閈. 1376~ 1443)은 고려 공양왕 때 관직에 나가 조선 개국 이후 경기도관찰사, 한성부윤, 사헌부 대사헌, 의정부 우의정을 역임한 문신이다. 개성왕씨부인묘 개성왕씨부인(1353~1439)은 노한의 어머니인데, 노한은 그의 어머니가 죽자 시묘살이를 하고 그 자리에 ‘효사정(孝思亭)’을 만든 것으로 잘 알려져...
파주민보(2025-02-18 09:27:00)
공민왕 12년(1363)~세종 22년(1440)], 본관은 회덕(懷德), 자는 선양(善養), 시호는 혜의(惠懿), 증조는 지문성부사 황윤보(黃允寶, 회덕황씨 시조), 조부는 황연기(黃衍記), 아버지는 수안군사 황수(黃粹), 어머니는 참지정사 홍복규(洪復圭)의 따님 남양홍씨, 배위는 판윤 한치현(韓致賢)의 따님 청주한씨, 아들 황유...
개미실사랑방(2025-08-23 00:10:00)
근교에 왕과 왕족의 묘역이 많이 조성되었는데요, 풍수적으로도 이 지역이 길지(吉地)로 여겨지면서 고양, 구리, 남양주 일대에 왕릉과 대군묘가 집중적으로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앞서 세조의 능인 ‘광릉’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왕릉의 공간 구성:광릉을 중심으로' 진입공간, 제향 공간, 능침 공간, 재실...
민쏘스의 문화유산 이야기(2025-08-25 08:30:00)
신의황후(태조비) 후릉 : 정종/정안왕후 연산군묘 직접 탐방 후기 연산군묘 재실 재실이라함은 묘 관리자가 지내는 업무공간이자 제향을 준비하는 곳으로...수는 없도록 되어 있어요. 연산군묘 연산군묘 묘역에는 조선10대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의 묘를 포함하여 태종의 후궁 의정궁주 조씨, 연산군의 딸...
오전 여행자(Oh Jeon Traveler)(2024-12-03 07:27:00)
정씨 성을 가진 도인이 나타나 나라를 다시 세울 것이다”라는 이 한 문장은 조선 후기 백성들의 절망과 희망, 좌절과 기대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문장이기도 하다. <정감록>은 단순한 허무맹랑한 예언이 아니라, 왕조가 더 이상 백성의 삶을 책임지지 못하던 시기에, 사람들이 그 허전한 자리를 스스로 메우기 위해...
하놀(하고놀자)(2025-08-07 23:08:00)
동편에 부인 신씨의 묘가 나란히 위치합니다. 묘역은 대군의 예우로 장례 되어 곡장(曲牆), 묘비, 혼유석, 장명등, 향로석, 문인석, 제실 등이 갖추어져 있네요 연산군의 생애 연산군(1476~ 1506) 은 조선 제10대 왕이었으나, 그의 폭정과 방탕한 생활로 인해서 조선왕조실록에는 군으로 강등되어 남아 있습니다. 성종...
윤슬한옥(2025-05-28 01:31:00)
대부분이 개성과 경기지방에서 출토됐다는 점이 주목되는데, 이는 고려의 지배계층은 중앙에 거주함으로써 귀족적 특권을 누렸음을 의미한다. 묘지석의 글 : "아내의 이름은 경애였다. 병이 들어 세상을 떠나게 되니, 나의 한이 어떠하였겠는가 ? 믿음으로써 맹서하노니, 그대는 감히 잊지 못하리라. 무덤에 함께 묻히지...
실과바늘(2025-08-25 07:20:40)
조선 후기에는 왕실의 종친과 양반 가문들이 대규모 세장지를 마련하여 조상을 숭배하고 묘에서 지내는 제사를 강화함으로써 친척간의 화목을 돈독히 하였다. 이 비는 오래되고 귀중한 유물로 광대한 종중 묘역의 면보를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묘역에는 무안대군(이방번) 신도비, 광평대군(이여) 신도비...
수앤성 핸드메이드(2024-12-14 20:3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