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지도 이미지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문화유적지정번호
131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선암리 산39-6
지정일자
2015-04-17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동
이미지정보
향토유형유적 < 향토유적 < 국가유산 < 청주이야기 - 문화관광(new) (cheongju.go.kr)
향토문화유적소개
1887년 풍천임씨 임시대의 처 안동김씨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관리기관전화번호
043-201-2437
관리기관명
충청북도 청주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11-18
제공기관코드
5,710,000
제공기관명
충청북도 청주시

블로그 리뷰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청풍 김씨(淸風金氏), 청풍김씨 시조, 김대유(金大猷), 청풍김씨 유래, 청풍김씨 조상

    조선조 후기에서 가문을 빛낸 인물(人物)이다.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청풍 김씨(淸風金氏)는 남한(南韓)에 110,81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역대인물(歷代人物)-청풍김씨조상 김대유(金大猷) 고려때 사문진사(四門進士)문과에 급제 보문각(寶文閣)태학사(太學士)가 되고 중추원사(中樞院使...

    한국의 성씨와 족보 이야기(2025-07-27 07:19:00)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북이면 안동 김씨 효부각(北二面 安東金氏 孝婦閣)

    임시대 처 안동 김씨(任時大 妻 安東金氏, 1756~1816) 증숙부인(贈淑夫人) 안동 김씨는 청원군 북이면 선암리 1구 풍천임문(豊川任門)으 로 시집 온 조선조 효부이다. 증 통정대부 호조참의(贈通政大夫戶曹參議) 임시대(任 時大)의 아내로, 어려서부터 천성이 착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시집와서도 시부모 모시기에...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11-04-27 21:00:57)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류운룡 선생을 기리는 안동 화천서원 (Hwacheonseowon in Andong city, 安東 花川書院 )

    조선 후기 영남학파의 선구자였던 퇴계 이황의 퇴계 학문에서 수학한 1786년(정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유성용 선생의 형님)을...기능을 갖춘 곳이다. 화천서원의 주향은 겸암 류운룡 선생은 조선 중기 안동 출신의 문신으로 어릴 때부터 총명해 모든 경사(經史)를 통독함으로써 사문의...

    SOY(2014-05-22 13:50:25)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20130629]고양누리길 中 &#39;서삼릉누리길 &amp; 행주누리길&#39; 이어걷기를 다녀오다 - 2부

    하면서 후기를 주로 사진으로 작성함은 인간의 만남이 유한함을 알기에 어떤 연유로 비록 언젠가 헤어지더라도 추억 속에서 함께 하고자 함이고, 또 하나 이유가 있다면 걸으면서 보고 느낀 것을 글로 다 표현치 못하는 무능함에 있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를 더 든다면 누군가가 같은 길을 걷고자 할 때 작은 도움이...

    꿈★은 이루어진다.(2013-06-29 22:24:00)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안동 일성당 (日省堂)고택과 침류정 (枕流亭)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정려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 ​ 이웅의 아들 이화(李樺, 1421~1489)는 세조 때 병조판서를 지내고 판중추부사로 은퇴하고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이화는 벼슬에서 물러나자 고향에 돌아와 후진을 양성하며 마을 앞에 큰 연못을 파서 사지(설못)라 이름짓고 농업용수로 쓰게...

    도암정 마을(2021-09-11 09:45:00)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안동지방에서 하루(1)

    공구택(安東比安公舊宅)은 조선 세종 때 비안현감(比安縣監)을 지낸 비안공(比安公) 김삼근(金三近, 1419∼1465)의 옛집이다. 김삼근은 풍산면 남불정촌(南佛...慶)의 17세손 김용추(金用秋, 1651∼1711)가 지은 집이다. 김용추는 선안동김씨 소산 입향조인 김언준(金彦濬)의 7대 종손으로서, 갈암 이현일(李玄逸)의...

    와야 정유순의 세상걷기(2018-09-04 10:31:49)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한국의보물(寶物)1609호부터1624호까지 입니다

    준다. 안동봉정사영산회상벽화 (安東鳳停寺靈山會上壁畵) 보물(寶物) 제1614호 이 벽화는 1997년 1월 16일에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보존처리 한 후 사찰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화면은 중방부분이 휘어지면서 부분적으로 균열이 생기고,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훼손된 부분이 많아 제 모습을 상당히 잃었으나 구도 및...

    韓氏아저씨블로그(2018-03-29 07:00:00)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스크랩] [남양주역사기행] 석실서원(石室書院) - 남양주시 수석동

    씨(安東金氏) 세장지지(世葬之地)이며, 특히 석실선인(石室仙人) 김상헌(金尙憲) 선생의 묘가 있어 석실(石室) 마을로 불리워졌다. 1636년 병자국치(丙子國恥)를 당하여 청(淸)나라에 압송, 6년 여에 걸친 온갖 회유와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조선 성리학의 이념 구현을 위해 목숨을 걸고 불굴의 기개를 보여 주었다...

    따로 또 함께(2009-02-22 16:28:15)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예릉[睿陵] 강화도령 철종과 철인왕후

    丁字閣)을 양릉 사이에 옮겨 세우고 동원이강형식(同原異岡形式)을 취하게 되었다. 능제도는 병석 없이 난간만 두른 단릉(單陵)으로 석물의 배치며 장명등(長明...있다. ⑶ 예릉 : 국말(國末)의 철종(哲宗)과 철인왕후 안동김씨(哲仁王后安東金氏)의 능이다. 능제도는 양릉을 나란히 놓아 난간으로 연결된 쌍릉제도를...

    산팅이(카우싱크대공장)(2017-09-18 07:27:00)

  • 안동김씨 효부각安東金氏 孝婦閣 | 아름다운한국 - 고양(고양관광안내도)고양에서 가볼만한 곳

    조선 후기 치장(治葬)의 근간이 된 《상례보편 산릉의(喪禮補編山陵儀)》의 기초를 이루었다. ⑸ 홍릉(弘陵) : 영조 원비(英祖元妃)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의 능이다. 영조는 왕후의 택조(宅兆)를 정하면서 장차 함께 묻히고자 허석(虛石)의 제도를 쓰고 능상석물(陵上石物)은 쌍릉(雙陵)을 예상하여 배치하여...

    아름다운 우리강산(2009-11-23 22:5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