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영주제명기 지도 이미지

경상도영주제명기 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경상도영주제명기
문화유적지정번호
제203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보물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84(상주박물관)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국립경주박물관)
지정일자
2019-10-31
소유주체구분
국유
규모
2종2책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경상도영주제명기(慶尙道營主題名記)는 고려~조선시대 경상도로 부임한 관찰사 명단을 수록한 총 2종 2책의 선생안으로, 각 1책씩 국립경주박물관과 상주향교 소장본(현 상주박물관에 위탁보관)으로 구성되었다. ‘경상도영주제명기’는 조선 초기의 문신인 하연(河演, 1376~1453)이 역대 경상도지역 관찰사의 명단을 1426년(세종 8) 처음 필사하여 제작한 이후 계속 추록되어 1718년(숙종 44) 관찰사로 부임한 이집(李)까지 기록되었다. 이렇듯 640년간 동일직명의 명단을 수록한 선생안이 전래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하연의 서문(序文)에 의하면, 자신이 관찰사로 부임한 이듬해(1426년) 역대 전임 경상도 관찰사의 명단을 확인하고 1078년부터 하연 본인이 부임하기 전인 1423년(세종 5)에 이르기까지의 역대 관찰사의 명단을 새로 작성하였다고 한다. 이때 하연이 만든 ‘경상도영주제명기’가 국립경주박물관 소장본이며, 표제는 ‘당하제명기(棠下題名記)’로 되어 있다.상주향교 소장본 ‘경상도영주제명기’는 하연이 제작한 국립경주박물관 소장본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1622년(광해군 14) 김지남(金止男)이 제작한 것이다. 표제는 ‘도선생안(道先生案)’이다. 여기에는 1078년 부임한 이제원(李齊元)에서부터 1886년(고종 23)에 부임한 이호준(李鎬俊)에 이르기까지 추록되어 있어 800년이 넘는 오랜 기간 동안 경상도 관찰사를 역임한 역대 인물들의 현황을 알 수 있다. ‘상주목치(尙州牧置)’라는 기록을 통해 상주목에 보관했던 책이었음이 확인되며, 고려~조선시대에 걸친 역대 경상도 관찰사 명단을 파악하는데 필수적인 자료이다.이처럼 국립경주박물관 및 상주향교 소장 2종의 ‘경상도영주제명기’는 15세기 최초 제작 이후 19세기까지 추록되어 자료의 연속성이 있을 뿐 아니라, 현존하는 관찰사 선생안 중 시기적으로 가장 이르고 내용 및 형태적으로도 가장 완형(完形)에 가깝다는 점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37-6753
관리기관명
상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