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계사竹溪祠 지도 이미지

죽계사竹溪祠 1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죽계사竹溪祠
문화유적지정번호
139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용계리 171
지정일자
2015-04-17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동
이미지정보
향토유형유적 < 향토유적 < 국가유산 < 청주이야기 - 문화관광(new) (cheongju.go.kr)
향토문화유적소개
1738년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음을 당한 금성대군 이유와 충장공 이보흠의 위해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사당
관리기관전화번호
043-201-2437
관리기관명
충청북도 청주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11-18
제공기관코드
5,710,000
제공기관명
충청북도 청주시

블로그 리뷰

  • 죽계사竹溪祠 | 전북 무주 죽계서원: 유교 전통과 학문의 향기를 간직한 서원 탐방기

    조선 후기 교육 기관. [위치] 죽계서원(竹溪書院)은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1716-3번지[평장길 79]에 있다. 안성면 소재지에서 안성로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다 보면 좌측으로 평장 마을로 들어서는 갈림길이 나온다. 평장 마을로 들어서면 평장 마을 회관이 있으며, 길을 따라 마을을 통과하여 평장길 끝에...

    Royallist(2024-11-13 13:01:35)

  • 죽계사竹溪祠 | 청주 금성대군제단

    금성대군 제단은 시신 없는 제단이나 후손들의 제향이 이어지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제단 형태를 보여 주는 자료로 가치가 있다. 금성대군신도비 묘소 입구에는...제단은 후손들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금성대군은 청주 죽계사(竹溪祠)와 청안(증평)사우에 제향되고 있으며, 영월, 순흥 등에서 제향되고 있다...

    현스바비큐아카데미(2024-12-04 10:22:00)

  • 죽계사竹溪祠 | 백곡면 갈월리 만뢰사(栢谷面 葛月里 萬賴祠)

    위치해 있다. 1851년(철종 2) 백곡면 가죽리에 죽계사(竹溪祠)를 세워 김유신(金庾信)과 함께 조감을 배향하였다가 고종 때의 서원철폐령으로 죽계사가 철거...편이다. 다만 들어가는 도로가 비좁아 자가용으로 접근하기는 다소 불편하다. 조감(趙瑊)은 조선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의병장이다. 본관은 평양(平壤...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11-12-22 06:59:48)

  • 죽계사竹溪祠 | 진천 투어 하늘다리 농다리 정송강사 길상사

    라이더 후기들 보면 아무렇지 않게 건너가는 모습이 찍혀있던데... 여기를 &#34;클릿신고 여기를 걸어간다고??? ... 건너갑니다. 인생 머 있습니다. 시원하게 자전거와 함께 풍당...하는..거....는 아니고... 나는 죽어도 클릿 신고 못 걸어가겠다. 싶으신 분은 맨발로 건너세요.ㅎㅎ 방법이 없음. 사실 저도 건너는데 무지...

    자전거길 연구소(2022-03-20 18:12:00)

  • 죽계사竹溪祠 | 영주 소수서원, 숙수사 절터에 세운 조선 최초의 사립대학

    모시고 &#39;죽계사&#39; 3장을 낭독하며 경건히 제례를 올렸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쪽에 죽계수 서쪽에 소백산 그 사이에 공을 모신 사당 백운이 가득찬 골자기에 앞 길이 희미하네, 시냇물에는 고기 놀고 산에는 잣나무 여기는 공이 놀던 옛 터인데 어이하여 돌아오지 않으시나, 돌아와 주오 돌아와 주오 나를...

    존재의 따스함(2012-10-04 10:00:00)

  • 죽계사竹溪祠 | [스크랩] 옛 인물 /회헌(晦軒) 안향(安珦)

    죽계(竹溪) 위에 있는 평촌리 학다리 옆 본가에서 태어났다. 그 집은 그의 증조부인 호군공(護軍公) 안자미 때부터 살던 곳이었다. 안향의 어릴 적 이름은 유(裕)였다. 후에 향으로 고쳤지만, 조선시대에 이르러 문종의 이름과 그의 이름이 같은 까닭에 이를 피하고자 다시 예전의 이름을 쓰기도 하였다. 그는 어렸을 때...

    초암 이야기(2011-03-20 21:34:54)

  • 죽계사竹溪祠 | 주세붕과 소수서원에 대해

    晦軒祠)를 세우고, 1543년 주자(朱子)의 백록동학규(白鹿洞學規)를 본받아 사림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紹修書院)을 세워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다. 그리고 서원을 통하여 사림을 교육하고 또한 사림의 중심기구로 삼아 향촌의 풍속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재정을 확보하고 서원에서 유생들과 강론...

    宅田書窓(2023-03-05 16:0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