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한 점의 티끌이 없구나”라고 했다.이공승은 벼슬을 그만두고는 진천으로 낙향해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사후 중서시랑평장사에 추증됐으며 문정文貞이라는 시호를 받았다.영당은 정면 3칸, 옆면 1칸 반의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빈칸의 앞퇴를 뒀으며 ‘사양영당思陽影堂’이라는 편액을 걸었다. 사양영당은 진천군의...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25-03-27 06:45:06)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성동 내상문을 오르면 목은영당을 만난다. 영당 건물은 내진과 툇마루로 구성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홑처마 맞배지붕 목조...각각 설치했다. 수암 권상하(遂菴 權尙夏, 1641 ~ 1721)가 쓴 목은영당(牧隱影堂)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마당 앞으로 솟을 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5-03-30 07:34:00)
영당으로 바뀌게 된 사례로서, 서원 철폐령 이후 서원 건축의 잔존 양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제천 황강영당 및 수암사 [堤川黃江影堂-遂庵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이제 황강영당을 한바퀴 돌아보고 다음 여행지 명오리 고가를 가기 위하여 올라갔던 도로길을 따라 되돌아...
산나드리(2024-03-14 07:34:00)
시호는 문정 文貞이다. 아버지는 판서 김익희이고 사계 김장생의 증손이다. 학문적인 가정의 분위기에 젖어 학문이 일찍이 성숙하였으며,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여러 학문을 폭넓게 연구하였으며, 특히 역사에 밝았다. 문집으로는 『돈촌유고』가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김만증 초상 (金萬增 肖像...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4-12-07 21:57:00)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여 민제인 백마강부 각판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향토문화유적종류: 목판 소유주체구분: 사유 문정영당文貞影堂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유주체구분: 사유 평곡리 석조보살입상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향토문화유적종류: 향토문화...
똑똑찾기 블로그(2025-04-13 19:10:00)
스님에게 조정(朝廷)에서 주던 이름. 신라(新羅), 고려(高麗) 때 있었음. 影堂(영당): 한 종파(宗派)의 조사(祖師)나 한 절의 창시자(創始者), 또는 덕(德)이...인종의 문신. 본관: 교동. 자: 봉약(封若), 호: 초당(草堂). 시호: 문정(文貞). 교동인씨의 실제 관조. 예종·인종 연간에 활동한 문인으로 인종 때 급제하여...
고래잡이 소년(2025-07-21 04:57:00)
조선 후기 절의의 상징으로 대중들에게 얼마나 확산되었는지 잘 보여 주고 있다. 시대의 지성 서계 박세당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선생은 현종 1년(1660년...결과 당시 지조와 절개의 상징이었던 매월당(梅月堂) 김시습 선생의 영당을 조성할 수 있었고 향후 청절사로 지역 유림들의 지지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바람의길(2024-05-16 23:44:47)
비(文貞公李端相碑)》 《감사이만웅비(監司李萬雄碑)》 《김숭겸표(金崇謙表)》 《김명원신도비(金命元神道碑)》의 전액(篆額) 등이 있다. <두산백과...김창흡(金昌翕 1653 ~ 1722) *세째 (효종 4 ~ 경종 2) 조선후기 『삼연집』, 『심양일기』 등을 저술한 학자. 서울 출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白川의 산책 >물과 바람으로*!^(2024-05-11 07:32:00)
晦軒影堂)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白頤正(백이정) 1247년(고종 34) ~ 1323년(충숙왕 10) 약헌(若軒), 이재(彝齋), 문헌(文憲) 개설 본관은 남포(藍浦). 자는 약헌(若軒). 호는 이재(彝齋). 아버지는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백문절(白文節)이고,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웃음이 넘치는 글방(2024-11-15 10:21:00)
고려 후기에 이르러 영양(英陽), 의령(宜寧), 고성(固城)으로 나뉘어 관적(貫籍 호적이 있는 지역)하였고 충렬왕 때 통헌대부(通憲大夫)와 추밀원직부사(樞密院直副使)를 지낸 남군보(南君甫)를 1세조로 삼아 세계(世系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내려오는 계통)를 이어오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한 의령남씨 금남면 성강리의...
물처럼 바람처럼 자유로운 영혼 자유인 계룡도령 춘월(2020-07-18 02:27: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