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투어 전사벌왕릉과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후사벌왕 & 상산박씨 박언창 무덤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 보물 & 남북국시대 지척에 임진왜란의 정기룡 장군의 충의사...대여를 공짜로 해 준다는 ㅠㅠ 통일신라시대 사찰이 있었다는 복룡동 당간지주 보존이 아쉽다. ㅡ 거의 폐허수준 ㅜㅠ 생활유구와 연못 등으로 집단 유적...
메주네 뜰(2024-05-27 14:33:00)
시대의 당간지주로 높이는 3.6m에 이르며 두 지주는 동서로 마주보고 있다. 한쪽변이 5.5m, 높이 1m 가량 되는 석축을 쌓고 그 위에 세워진 두 지주는 전체적...다룬 수법과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19호). 상주 시내 한가운데에 있는 왕산역사공원의 동편...
cds9494님의 블로그(2017-05-09 15:42:00)
900년대 초반) 그 외 석조천인상(보물 661호/높이 1.2m/700년대) 5.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경북 6호/높이 3.62m, 석조여래좌상/보물 119호/고려) 6. 상주 남장사...보물 990호/조선 초기,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보물 992호/조선 후기, 관음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보물 993호/17세기) <문경지역 석탑과 문화재...
자하미(2015-05-30 12:43:40)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6호)는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짐작되지만 길가 논 한가운데에 있어 원형을 알 수 없다. 커다란 절간 대웅전 앞마당 한쪽을 차지하고 있었을 법하다. 당간지주는 사찰 들머리나 법당 앞에 마련해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당간지주의 크기로...
이산(2013-11-19 09:29:41)
7 / 054) 531-9290 상주경찰서 맞은 편 상주시 복룡동 소재 ‘상주시 복룡리 당간지주’를 답사하고 당간지주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상주경찰서 맞은편에 있는...是議全書)』는 1800년대 말 조리책으로 지은이는 전해지지 않지만 조선 후기 다양한 음식이 잘 정리되어 있어 요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된다...
여행천하(2020-12-31 13:04:00)
조선후기 조각사 연구의 기준자료가 되는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되므로 조성원문과 더불어 보물로 지정되었다. 문화재명 : 조정 종가 문적(趙靖 宗家 文籍) 주 소 : 상주시 사벌면 삼덕리 산 18-7번지(상주박물관) 지 정 :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004호(1989.5.23지정) 검간(黔澗) 조정(趙靖, 1555~1636) 선생 종손가...
상주으뜸농원곶감(2014-05-12 15:43:00)
상주시 복룡동 358번지였으나, 1975년 10월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콧날이 약간 손상된 얼굴은 둥글고 풍만한데, 가늘게 뜬 눈, 작고 도톰한 입술 등에서 인간적이면서도 차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어깨는 현저히 좁아졌고, 오른손은 없어졌지만 두 손이 아래위로 겹쳐진 모습으로 보아,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韓氏아저씨블로그(2016-09-23 08:00:00)
入尙州 寓東方寺 朴君 崔金兩秀才携妓酒來訪'이라고 기록되어 있어,고려 후기에도 존재하였던 사찰임을 알 수 있다.또한 『東海寺事蹟記』의 기록을 통해 복룡동 당간지주가 있는 곳이 사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복룡동 석조여래좌상의 원래 위치도 당간지주 인근이라 전하지만, 이 일대가 농지로 변해 현재 확인할...
바람처럼 떠나다(2017-05-18 12:34:45)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