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증손향약 지도 이미지

상주 증손향약 1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상주 증손향약
문화유적지정번호
제21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유형문화유산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84(상주박물관)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361
지정일자
1986-12-11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책
조성시대
169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향약은 전래된 각종 향약의 집대성이며 상주 남부 지방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현장성있는 향약으로 제정한 일명 남촌 사면 향약(南村四面鄕約)이라고도 부른다. 사면은 상주 남쪽 지방의 청남(靑南),청동(靑東),공서(功西),공동(功東)으로 현재의 청리,공성,외남 일부가 이에 속하다.처음 이 향약은, 1634년 상주 목사 김상필(金商苾)이 월간(月澗) 이전(李)과 수암(修巖) 유진(柳袗)의 두 선생에게 약정을 맡아보게 하여 시행하였던 것이다. 책의 내용은, 책머리에 범례가 있어 여기에는 여씨 향약(呂氏鄕約) 범사조가 있고, 다음에는 퇴계 선생(退溪先生)의 약조(約條), 다음에는 월간 입규(月澗立規) 및 향입의(鄕立義)가 있다. 또, 포산 립지(苞山立址)와 퇴계 선생의 향립약조서 포산 규약식, 포산 규약발(苞山規約跋)이 있고 5행간을 비우고 신증 약조와하인 약조(下人約條)가 있다. 끝으로 이재성(李齋聖)이 임신년에 쓴 남촌 사면 향약지(南村四面鄕約枝)가 있는데 임신년은 1692년(숙종 18)으로 추정된다.『증손향약』(增損鄕約)은, 당시까지 전해 오던 한중(韓中)여러 향약을 집대성함과 동시에 상주 지방 특유의 제 사정을 감안하여 시행 가능케 중보하여 만들었다는 가치성이 있다. 향약의 궁극 목적은, 약정인끼리 상부상조하며 향풍을 규찰하여 민속을 순후케 하려는데 있었던 만큼 이런 미풍양속은 현재에도 필요하리라 본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37-6753
관리기관명
상주박물관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 상주 증손향약 | 조선의 약사

    적었지만 후기에는 임진왜란·병자호란 등의 전란과 그로 인한 신분의 상승·세도정치로 인한 지방관의 폭정·삼정의 문란 등으로 조선 사회가 혼란해지면서 관청의 기강도 해이해져 향리가 수령과 결탁하여 마음대로 욕심을 채웠다. 이들이 사욕을 채우게 되는 원인은 이들에게 토지나 녹봉을 주지 않은 제도적인 결함...

    웃음이 넘치는 글방(2025-09-05 23:44:00)

  • 상주 증손향약 | 허목의 미연서원(嵋淵書院)1825년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문보(文甫)·화보(和甫), 호는 미수(眉眉). 찬성 자(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별제 간(艮)이고, 아버지는 현감 교(喬)이며, 어머니는 정랑 임제(林悌)의 딸이다. 부인은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의 손녀이다. 1615년(광해군 7) 정언눌(鄭彦訥)에게 글을 배우고, 1617년 거창...

    세세, 세월따라 세상따라(2024-05-21 13:41:00)

  • 상주 증손향약 | 허목(許穆)-愼酬酌自警(신수작자경)(인간관계를 신중히 하자고 스스로 다짐하다(쉽지 않은 세상살이)

    조선후기 성균관제조,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1595년(선조 28)에 태어나 1682년(숙종 8)에 사망했다. 과거를 보지 않고 학문과 글씨에 전념해 독특...주자학 일존주의에서 벗어나 원시유학을 중시했다. 찬성 허자(許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별제 허강(許橿)이고, 아버지는 현감 허교(許喬)이며, 어머니...

    한병곤 변호사(공감 합동)의 변호카페(2024-02-28 06:10:00)

  • 상주 증손향약 |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임진왜란초기 관군과 왜군이 전투를 벌렸던 전적지

    시청> 증손향약 김일(?~1592년).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상주비방에서 향병 500명으로 창의하여 상주성을 탈환하기 위해 왜군과 전투하다가 순국하였다. 당시 무남독녀인 딸이 공의 시신을 수습하여 낙동면 화산리에 안장하는 등 효심을 보였다하여 후에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는데, 그떄...

    문화유산 답사(2013-11-11 13:49:55)

  • 상주 증손향약 | 상주박물관 관람기.

    상주증손향약(尙州增損鄕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6호). 조선 숙종18년(1692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향약집이며 전래된 각종 향약의 집대성으로 상주 남부 지방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현장성있는 향약으로 제정한 일명 남촌 사면 향약(南村四面鄕約)이라고도 부른다. 당시까지 전해 오던 한중(韓中)여러 향약을...

    cds9494님의 블로그(2017-10-11 00:06:00)

  • 상주 증손향약 | 상주박물관 (2021.04.18)

    증시교지) ​ 상주 증손향약(조선 17세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6호) ​ 보물 제1003호 조정 임란기록 일괄(임진일기) ​ 보물 제1003호 조정 임란기록 일괄(서행일기,남행록) ​ 보물 제1004-1호 조정 종가문적(분재기) ​ 보물 제1004-2호 조정 종가문적(조정 문과급제교지) ​ 광산보략(조선시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8호...

    산이 나를 오라하네(2021-04-19 21:28:00)

  • 상주 증손향약 | 상주 목사 신잠 선생님-조선시대

    신숙주의 증손이다. 신숙주는 집현전 학사로서 한글 창제에 이바지한 분이지만 세조때 정승을 역임하였다. 신잠선생님 출생, 사망연도 : 1491년 1554년 조선 초기에 활동한 문신이자 서화가이다. 자는 원량(元亮), 호는 영천자(靈川子; 靈泉子) · 아차산인(峨嵯山人),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신숙주(申叔舟)의 증손자...

    이종하등산기(2022-08-05 21:12:26)

  • 상주 증손향약 | 국립경주박물관 경상도 개도 700년 기념 특별전-경상북도 1314~1896 개최

    부윤을 지낸 윤효전(1563~1619)을 그린 것으로 전하는 초상(보물)과, 조선 후기의 수사기록인 영영옥안(嶺營獄案), 도내 지방관 명단인 도내관안(道內官案) 등을...사도세자 추존 만인소(思悼世子 追尊 萬人疏), 상주 향약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증손향약(增損鄕約, 경북유형문화재), 이상적인 일생을 묘사한 모당홍상공...

    천년 세월 속을 거닐다(2014-07-21 12:04:56)

  • 상주 증손향약 | 국립대구박물관 - 중세문화실(새 단장)

    고려 / 상주 서곡동 '요발-哱', '동발銅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양 악기 심벌즈와 유사한 모양으로 두 발을 부딪혀 소리를 낸다. 주로 범패梵唄(절에서 주로 재재를 올릴때 부르는 소리)와 같은 불교 의식에 사용한다.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 쇠북 고려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 종 ('보암사寶巖寺'명 범종...

    걸음과 눈과 마음과 기억(2022-06-09 09:10:00)

  • 상주 증손향약 | 신잠의 상주서당 이야기

    외증손이다. 뒤늦게 벼슬을 시작한 산잠 선생은 간성군수, 태인현감을 6년간 역임 했으며 선정을 배풀어 태인면 태창리에 선정비가 있으며 태인면사무소에 그의...있다. 성균관은 최고 교육기관으로 오늘날 대학교육기관 역할을 했다. 상주는 조선시대에 비교적 큰 고을이어서 교육기관이 발달했다. 조선 전기 신잠은...

    이종하등산기(2020-11-18 21:0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