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문을 오르면 목은영당을 만난다. 영당 건물은 내진과 툇마루로 구성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홑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가구 형식은 1고주 5량가이다...각각 설치했다. 수암 권상하(遂菴 權尙夏, 1641 ~ 1721)가 쓴 목은영당(牧隱影堂)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마당 앞으로 솟을 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5-03-30 07:34:00)
청사영당(晴沙影堂) · 전사청(典祀廳) · 고직사(庫直舍) 등을 철거하였다. 그러나, 옛 사당과 동 ·서재는 본래의 위치에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채로 남아...정기관(유물전시관)에 들어서면 충렬공 제봉 고경명 선생상과 세독충정(世篤忠貞)이란 휘호가 걸려있다. 임진왜란과 의병의 활동과 임진왜란 전쟁상황도...
백산블로그(2024-12-09 05:00:21)
坤之碑 죽천마공휘호곤지비 궁금해서 이런것들도 찾아 본다. 오창IC 때문에 지형이 바뀌어 어지럽지만 멀지 않은 곳에 그들의 선조인 마천목(馬天牧) 충정영당(忠靖影堂)이 있다. 사당은 1942년 경암 마호성이 세웠다. 1946년 신도비를 세웠다. 경암 마호성을 검색해 보았지만 찾질 못했고 마호곤은 북이면에 있는...
바람 속 갈팡질팡(2024-07-17 22:06:00)
長興影堂)에서 다시 모사한 것이다. 관복을 입은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으로 가로 80㎝, 세로 120㎝의 설채견본(設彩絹本)이다. 영정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영당은 1942년에 세우고 1982년에 보수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간 마루방에 중앙에 쌍문...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14-12-28 09:42:04)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다. 초명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 역옹(櫟翁), 실재(實齋)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본관은 경주(慶州).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이다. 경주 이씨(慶州 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派祖)이다. 이제현 李齊賢...
샘속에 옥을 찾아서(2025-05-22 12:05:00)
황강영당(黃江影堂)과 안동 권씨 화군군파 가문에 전하는 〈한원진 초상〉들과도 외모가 동일하여 그를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작은 폭의 비단에 얼굴이 오른쪽으로 향하게 반신상으로 인물을 그렸다. 그리고 인물은 심의(深衣)를 입고 복건(幅巾)을 썼는데, 이는 유학을 숭상하는 학자들의 복식이었다. 얼굴은 짙은...
韓氏아저씨블로그(2024-01-23 00:00:00)
배정부인안동김씨합부 老谷 申鉉福 墓域 노곡 신현복 묘역 충헌공 재실 영모재( 忠獻公충헌공申磼신잡- 형조판서,호조판서,병조판서 증영의정) 충정문(忠靖門) 老隱影堂(노은영당)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신잡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신잡(申磼)은 임진왜란 때 탄금대에서 전사한 신립(申砬...
벽암두릉연가(2016-05-04 23:57:27)
鍾 一先生像) & 목은선생영당 (牧隱先生影堂) 아들이와 둘이서 이번에 탐방하는 이곳은 수송공원 옥파 이종일선생상(沃坡 李 鍾一先生像)과 목은선생영당(牧隱...증언하였다. 두 번째로 탐방한 곳은 목은선생영당이다. 종로구 수송동 수송공원에 고려 후기 대사성, 정당문학,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학자...
봄, 여름, 가을, 겨울 산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 ♥(2019-05-28 14:34:00)
影堂)】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신잡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노은영당(老隱影堂)은 1615년(광해군 7)에 건립되었으나 1818년(순조 18...영당(老隱影堂)’이라는 현판이 달려 있다. 사당 정면에는 ‘충정문(忠靖門)’이라고 쓴 솟을삼문의 내삼문을 세우고 그 주변에는 돌과 회를 섞어 만든...
재봉틀의 국어방(2017-02-16 18:15:00)
조선후기 충무공 이순신 관련 주둔지. 군주둔지. 사적. 사적 제114호. 묘당도는 고금도에 딸린 섬으로 정유재란의 마지막 해인 1598년(선조 31) 2월 18일이순신이 수군 8,000여명을 이끌고 고하도(高下島)로부터 이곳에 옮겨 진을 쳤던 곳입니다. 그 해 7월 16일명나라의 원병으로 수군도독 진린(陳璘)이 병선 500여척...
여행작가 호미숙(2019-12-29 17:26:29)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