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곡재사 지도 이미지

효곡재사 13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효곡재사
문화유적지정번호
제25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유형문화유산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로 365-35
지정일자
1991-03-25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동
조성시대
1688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재사는 우곡(愚谷)선생의 높은 덕을 기리기 위하여 증손 송영(宋穎)이 숙종대에 건립한 건물로 추정된다. 17세기 후기의 건물로서는 가운데 설주, 연귀마춤 등의 치목수법(治木手法)이 건립 연대와 부합되는 수작으로 평가된다.우곡(愚谷) 송량(宋亮, 1534~1618)선생은 유교를 실천 궁행한 대표적 선비 중의 한 분이다. 스스로 효행을 다한 선비로, 그가 사는 마을 소곡(所谷)을 효곡(孝谷)이라 부르게 된 것은 선조 17년 이후부터라 한다.임진 왜란 때는 창의하여 전공을 세웠으며, 아들 이회(以誨)와 이필(以弼)이 양친을 구하려다가 죽고, 딸 노경건(盧景健)의 처와 정이괄(鄭而适)의 처도 수절하여 한 가정에 다섯 분의 충효 열인이 탄생하였다. 특히, 우곡 선생은 향풍쇄신과 흥학육영에 앞장서 낙사계(洛社契)조직에 큰 몫을 하였는데, 병인년(1566년) 낙사계와 무인년(1578년) 낙사계(조약 서문은 우곡이 씀)를 1599년(己亥年) 합사(合社)하여 명실공히 상산의 대계(大契)로 발전시키는데 주역이었다. 또한, 존현육영의 미덕을 높이려 도남서원을 창설(1606년)할 때도 중추적 역할을 하신 인물 중의 한 분이었다. 한마디로 선생은 유교의 이념을 몸소 행한 분으로 효충의 표본이라 일컬을 만하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35-6334
관리기관명
여산송씨문중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 효곡재사 | 문화재 소개 - 효곡재사

    오늘 소개해드릴 문화재는 상주에 위치한 효곡재사입니다. 문화재소개 상주문화재 볼거리 효곡재사 효곡재사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 분 류 주거생활...위하여 증손 송영(宋穎)이 숙종대에 건립한 건물로 추정된다. 17세기 후기의 건물로서는 가운데 설주, 연귀마춤 등의 치목수법(治木手法)이 건립 연대와 부합...

    문화재 여행하며 맛집탐방하는 라이언의 일상 블로그(2019-10-22 08:15:00)

  • 효곡재사 | 상주 백학산, 성봉산

    삼거리)→효곡재사→재실마 버스정류장 9. 특징: 백학산 백두대간 상에 놓여 있으며, 경북 상주시 공성면을 둘러싸고 있는 산 중에 하나이다. 백두대간을 하는 사람 이외에는 잘 찾지 않는 산이다. 백학산에 이른 백두대간은 여기에서부터 남쪽으로 마치 백학 한 마리가 날아가듯 고만고만한 산릉을 빚어 놓으면서 약...

    인생은 "0"(2018-10-22 14:38:00)

  • 효곡재사 | 성봉산(571봉)

    되어 있어 원산마을까지 갔다가 공성면 효곡리로 빙돌아 왕실마을에서 효곡재사 답사하고 뒷산으로 치고 올라 개척산행으로 성봉산 답사. 효곡재사-상주시...위하여 증손 송영(宋穎)이 숙종대에 건립한 건물로 추정된다. 17세기 후기의 건물로서는 가운데 설주, 연귀마춤 등의 치목수법(治木手法)이 건립 연대와 부합...

    이종하등산기(2018-10-08 20:13:00)

  • 효곡재사 | [백두대간대장정 제7구간] 백학산 - 역사지리

    조선 후기에 산맥이라는 말은 산줄기의 경로, 혹은 지간(枝幹)이라는 뜻으로서, 산경이라는 용어와 유사하게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의 효종 2년 조의 기사를 보면 ‘파주에 은혈(銀穴)이 있다고 하니 관상감 제조가 지관을 데리고 가서 살피게 하여 산맥을 범하지 않으면 채취할 것을...

    동봉여행(2006-09-25 17:1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