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재채수 신도비 지도 이미지

난재채수 신도비 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난재채수 신도비
문화유적지정번호
제30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유형문화유산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공검면 율곡리 산71
지정일자
1998-08-03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기
조성시대
1517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전기 중종반정 때의 공신인 나재 채수 선생의 공적을 기리고 있다.채수(1449∼1515) 선생은 세조 14년(1468) 생원이 되고, 이듬해에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사헌부감찰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일을 맡아보았다.『세조실록』·『예종실록』의 편찬에도 참여하였으며, 성종 8년(1477) 홍문관 응교가 되어 도승지 임사홍의 간악한 죄상을 아뢰어 몰아내기도 하였다. 대사헌으로 있을 때에는 폐비 윤씨를 옹호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성종 16년(1485)에서야 다시 기용되었다. 연산군 12년(1506)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여기에 가담하여 공을 세워 4등 공신이 되어, 인천군에 봉하여졌다. 59세 때에는 벼슬을 버리고 경상도 함창(지금의 상주)으로 내려와 이곳에서 머물며 남은 여생을 보내었다. 비는 약간 엉성하게 표현된 듯한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으로, 조선시대 전기 당시의 양식을 잘 따르고 있다. 상주 지역에 남아 있는 신도비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00-0000-0000
관리기관명
개인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