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임진왜란때 황령사가 상주 함창을 중심으로 봉기한 창의진 의병의 근원지로 알려 졌으며 그정신이 호국도량으로 이어진 사찰이다. 지방유형문화재 아미타후불탱(1786년 정조10년)은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참고(네이버 지식백과) 찾아오는길:경북 상주시 은척면 황령사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성주로 225...
중년부부 산행 여행 일상스토리(2025-06-11 15:35:00)
보살이 상주하는 반야사는 백화산 너덜겅을 사자라 해야 스토리가 깊어지지만 꼬리가 치켜 올라간 모습이 영락없는 호랑이 모습이라 절집에서는 많이 아쉬워하고 있습니다. 큰 절집 금강문에는 금강역사와 함께 청사자를 타고 있는 문수동자와 흰 코끼리를 타고 있는 보현동자를 볼 수 있습니다. 영암 도갑사 박물관 내...
travel6265님의 블로그(2025-08-07 18:21:00)
것이라고 한다.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안에는 석가 삼존불상을 모셔 두고 있다. 지방 유형문화재(2002.07.15)로 지정된 황령사 아미타후불탱 (1786년, 정조 10)과 신중탱은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으로 이안되어 보관 중이다. 이 탱화는 조선후기 경기도 화파인 상겸파가 경북지역에 미친...
대한민국 쇼핑 정보(2024-12-05 09:20:42)
좌상 등이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중 불교 관련 문화유산은 전체 22점 가운데 9점으로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 상주 도림사 소장 청동유물 일괄, 상주 남장사 일주문,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상주 북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인기 여행 중(2025-05-22 00:10:00)
수도승이 상주하였다. 자손들이 여기에 그의 사당을 짓고, 전장과 노비를 두어 대대로 제사를 지냈다. 청계사 표지석 뒤로 만세루로 올라가는 계단이 보인다. 계단 좌.우에는 사천왕 석상이 세워져있다. 청계사 만세루 계단 경사가 만만치 않으니 조심~ 관절이 걱정된다면 좌.우로 우회하는 길이 있으니 그 곳으로...
사찰여행(2025-05-28 18:30:00)
전해진다. 고려시대에는 1254년 (고종 41) 몽고의 장군 차리대가 상주성을 침공하자 황령사 승려 홍지가 관민병을 이끌고 적의 넷째 장수를 쏘아 죽였고, 적의...1966년 주지 이상호에 의해 중건된 것이다. 지방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아미타후불탱과 신중탱은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보관중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kimc0926님의블로그(2024-10-10 13:31:00)
혜소는 상주 장백사에서 주석하다 불법을 펴기 좋은 곳을 찾던 중 지리산에 이르렀다. 지리산에 머물며 선을 전파하던 어느 날 호랑이가 길을 인도하므로 쫓아가 보니 삼법이 머물렀던 화개곡의 절터에서 멈추어 섰다. 이에 혜소는 이 터에 절을 짓고 대나무 통으로 물을 끌어와 집 둘레 사방에 물을 대어 옥천사라...
lsj510106님의블로그(2025-04-03 10:11:00)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성주로 225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로 칠봉산 자락에 위치한 황령사는 절의 창건이나 연혁에 대해서는 언제 누가 창건했는지 알 수가 없다. 다만 신라시대인 638년(선덕왕 7)에 의상이 창건하였고, 889년(진성왕 3)에 대구화상이 중창한 것으로 전해진다. 고려시대에는...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2024-02-28 06:10:55)
조선후기의 탱화 - 현재 브루클린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갑사 삼신불 괘불탱 - 국보 제298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 국보 제314호 건륭제의 모습을...고궁박물원 소장. 5. 국가지정유산으로 지정된 탱화 목록 국보 국보 제218호 아미타삼존도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국보 제297호 안심사 영산회...
블로그로 국내여행(2025-05-23 12:32:00)
있는 삼존불상 주존불인 대세지상은 1729년에 조성이 되었고 백화산 천덕사에서 옮겨 왔다고 한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자료 제337호로 지정된 황령사아미타후불탱(복제품) 이 당우는 요사채로 정면이 다섯칸에 팔작지붕의 건물이다 관음전은 정면이 세칸인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나한전 나한전은 정면이 세칸...
김주환의 혼자여행(2024-05-03 05:4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