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고려 후기, 공민왕 대 왕사에 임명되어 불교계를 이끌었던 선승. 해부(寧海府)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아(牙)씨, 속명은 원혜(元惠), 법명은 혜근, 법호는 나옹 또는 강월헌(江月軒)이다. 아버지 아서구(牙瑞具)의 벼슬은 선관서령(膳官署令)이었고, 어머니는 영산군 사람 정씨(鄭氏)이다. 1376년(우왕 2) 경기도 여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ㅋㅋ(2025-08-18 17:25:00)
고려후기 문인이자 관료로, 원종(元宗), 충렬왕(忠烈王), 충선왕(忠宣王), 충숙왕(忠肅王)대에 모두 관직을 역임하였다. 민지는 충렬왕 21년(1295) 보각국사...발(楓岳山 長安寺事 蹟記跋)·33년「보개산석대기 (寶盖山石臺記)」 및「오대산월정사사적 (五臺山月精寺事蹟)」강릉 굴산사조와 오대산에 많은 저술도 하였다...
후세백작의 지평(2025-06-20 23:42:00)
당시 월정사와 함께 불에 타 그 잔해만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조성 내력과 연대가 새겨져 있던 선림원지 동종은 오대산 상원사의 동종, 성덕대왕 신종과 더불어 통일신라시대의 가장 빼어난 유물 중의 하나였다. 그렇다면 선림원지를 창건한 순응법사는 누구인가 ? 순응(順應)법사는 어느 때 태어나고 어느...
태평양을 향하여(2025-09-06 06:46:22)
1771년(영조 47)에 세운 화운당(華雲堂)의 부도를 비롯하여 송파당(松波堂)·주운당(珠雲堂) 등의 부도이며, 비는 1771년에 세운 화운당대사비와 이 절의 중창주...한 석가여래와 문수·보현 보살로 구성된 삼존불은 전형적인 조선 후기의 불상이다. 좌우의 문수·보현보살이 바깥쪽 손을 들지 않고 두 손 모두 무릎...
전국 전통사찰(2025-09-01 21:45:00)
상원사 답사(적멸보궁 제외). 4시 일행들과 만날 귀가하려면 잠시 쉴 틈이 없습니다. 월정사 승탑원 강원 문화유산 자료이며 지정 명칭은 월정사 부도군입니다. 조선후기 종형 부도를 비롯하여 근대에 봉안한 승탑이 있습니다. 2012년 답사하였으나 오늘은 각각 사진을 찍을 목적으로 들렸습니다. 스님들의 행장을 쉽게...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4-11-05 06:39:59)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부도군(浮屠群)과 일부 계단석이 남아 있다. 이 절에는 관음보살상 6첩서병이 정조의 하사품으로 전래하였으나 해방 후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가 없고, 죽암당 부도를 비롯하여 15기의 부도와 진표당의 진영을 비롯하여 16점의 진영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신선봉 자락에 위치해...
TREVEL YUMMY 전국 유명 맛집,명소,산행일기(2025-07-27 14:10:00)
조선후기의 대학자 이익李瀷을 필두로 한 '성호학파'를 계승한 정통유학자인데, 대부분 관심을 두지 않았던 불교사의 이면을 기록해두어 역사를 풍요롭게 해주었으니 불교계가 예사롭게 대하면 안 될 사람이다. 그는 평소 불교사에 관심이 많아 사적기事蹟記(사찰이나 불교 관련 인물의 역사와 행적을 적은 글) 같은...
한 걸음, 더 가서 넘어지는 방법(2025-07-26 03:46:00)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다. 옛 기록에는 삼공사(三公寺) 또는 흑련대(黑蓮臺)라고도 전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에는 사찰의 연혁에 대해 14세기 승려인 석식 영암(釋息影庵)의 기록을 인용하며 태조 왕건과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이에 의하면, 신라 말에 세 사람의 신인(神人)이 있었는데, 그들은 각각 많은...
꺼비♡꺼비(2025-07-29 09:31:31)
조선 후기 대부분의 사찰에 산신상과 함께 산신도가 많이 그려졌다. 이 산신상처럼 바위에 새긴 마애상을 통해 그 바램이 영원하길 바랬던 선조들의 깊은 신앙심을 엿볼 수 있다. 출처 : 전시물 앞 QR코드 미술관 서쪽 잔디밭에는 다보탑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다보탑(多寶塔) 경주의 불국사 다보탑을 재현한 탑으로...
궁릉사(宮•陵•寺)둥이님의 블로그(2025-06-30 07:13:00)
규봉당 부도가 포함된다. 부도탑은 보기 드문 석종형 또는 보주형이며, 각 탑비에는 이름·생몰년대·연대·문양 등이 새겨져 있어 사찰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곳은 증심사의 수행 전통과 선맥(禪脈)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비교적 한적하고 청명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 천왕문 일주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Bigtin(笑看齊)의 명화와 명산, 그리고 명주(2025-07-20 17:36:24)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