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어서각(御書閣) “임금의 글을 모신 전각”이라는 의미의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정조대왕이 서산대사를 기리며 내린 어필이 보관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대흥사가 호국도량으로 불리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정조대왕의 어필 표충사, 임금의 글을 모신 전각이라는 어서각 표충사에서 바라본 두륜산 별원에...
오늘여행(2025-06-19 23:49:00)
위패를 모셔 놓았다 1839(헌종5) 구인당은 화재로 사라졌다가 재건 조선 후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제외된 47개의 서원 중 하나 정문인 역락문, 2층 건물인...서재인 암수재 1972년 서원 동남쪽에 후손들이 세운 청분각에 어서각御書閣 소장본/ 이언적의 종가인 경주 양동 무첨당無忝堂 /독락당 소장본 국보 삼국사기...
pebble(2025-05-31 00:22:00)
위치한 재실로, 영천 입향조 전영창과 배위의 묘소 수호 및 시향 공간.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다. 오인정(五印亭) : 영천시 조동에 위치. 전삼익...후학을 가르친 장소. 대곡서당(大谷書堂) : 전삼성이 학문을 닦던 서당. 어서각(御書閣) : 전삼달의 공적과 유품 보관. 우모정(寓慕亭) : 전우필이 세운...
뿌리 성씨 이야기(2025-08-13 13:21:04)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천불전의 팔작지붕과 건물의 맵시가 매우 경쾌하며 정면 3칸 분합문 전체가 아름다운 꽃창살이다. 내부에는 경주에서 초의스님을 비롯한 8분의 스님들이 직접 깎아 제작하여 운반해 온 옥돌 불상 천 분이 모셔져 있다. 경주 불석산의 옥돌로 만들어 1817년에 두 배로 나누어...
아진돌 AginDoll(2025-03-15 15:36:54)
있는 어서각(御書閣) 소장본이고, 다른 하나는 이언적의 종가인 경주 양동 무첨당(無忝堂), 마지막으로는 독락당에 있는 소장본이다. 보관된 책으로는 국보로 지정된 《삼국사기》가 대표적이며, 1513년에 간행되어 현재까지 발견된 활자본으로는 《정덕계유사마방목(正德癸酉司馬榜目)》외에 《해동명적》 《이언적수필...
길미녀의 세상 걷기(2025-04-10 12:03:00)
조선후기 3대 명필중 하나인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의 글입니다. 가허루를 지나면 해남 대흥사 주불전으로서 남원 영역의 중심전각인 천불전(千佛殿) 을 비롯해 용화당, 동국선원, 봉향각, 승방 등이 자리하고있습니다. 천불전 내에는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좌우로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을 협시로 하고있으며 그...
여행을 꿈꾸는 사내(2024-11-30 20:26:00)
문경의 귀후재는 없었습니다. 마당 한켠에는 정면 한 칸짜리의 비각 어서각(御書閣)이 있었습니다. 귀후재에 들러 여기저기를 둘러보면서도 정작으로 중요한...사전에 설명되어 있는 권상일(權相一)에 관한 자료를 올려봅니다. 정의 조선후기 대사간, 홍문관부제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안동...
박태근의 이야기가 있는 여행(2021-09-06 17:00:00)
조선 후기의 대선사로서 우리나라 다도 (茶道)를 정립한 분으로 일명 '다성(茶聖)'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15세에 남평 운흥사에서 민성 (敏聖)을 은사로 삼아 출가하였고, 19세에 영암 월출산에 올라 해가 지면서 바다 위로 떠오르는 보름달을 바라보고 깨달음을 얻었다 합니다. 전국의 선지식을 찾아가 삼장을 배워서...
♡ 먼 길가는데 쉬엄쉬엄 가세나 ♡(2024-11-08 20:18:00)
조선 후기 대표적 선승 가운데 한 사람이며, 우리 나라의 다성으로 추앙 받는 초의 선사가 그의 '다선일여' 사상을 생활화하기 위해 꾸민 다원인 일지암이 나온다. 흐르는 땀으로 범범이 될쯤 일지암의 차밭에 왔다. 일지암은 초의 선사가 수도하기 위해서 지은 암자로, 초의 선사가 열반에 들자 폐허가 되었다. 일지암...
궁금하면 가보자(2024-07-16 08:36:11)
1789년(정조 13)에 정조대왕이 하사한 ‘표충사(表忠祠)’ 편액과 ‘어서각(御書閣)’이란 편액 두 기가 있으며, 단조로운 채색의 단청으로 사당의 위엄을...허가와 함께 ‘표충사’이라는 사액을 받게 된 것이다. 건물은 전반적으로 조선후기의 건축기법을 살펴볼 수 있으며, 건물 내부에는 임진왜란 때 승병으로 활동...
세상의 모든 스탬프(투어)(2024-11-30 13:1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