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유적과 가야 유적이 몇개 있는데요, 그 중 오늘은 통일신라시대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상 2개를 소개드립니다.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과 석조여래입상으로, 어떤 모습인지 방문 후기 공유드려요. 방문 정보 🏡 방문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257-2 📞 전화번호 : 054-537-7210 ⏰️ 운영시간...
MJ의 방방곡곡(2025-03-17 08:40:00)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尙州 曾村里 石造如來坐像 Treasure Cultural Heritage of South Korea Stone Seated Buddha in Jeungchon-ri, Sangju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오른쪽에 있는 높이 약 2m의 불상으로 광배까지 하나의 돌에 조각하였다. 얼굴 표정이나 광배의 조각은 마모가 심해서 잘 알아볼 수 없었고 손...
문화유산 사진첩(2025-04-18 12:15:00)
후기의 함창현읍지에 의하면, 사창 뒤 현탑동에 신라 고찰인 큰 절이 있는데, 석조 미륵상 2구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54년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과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의 보호각을 세우면서 용화사가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는 약사전과 요사채 2동이 있다. 약사전 앞에는 통일신라 후기 양식의 3...
자연이 주는 감동 Beautiful Korea 구석구석 이곳에(2025-04-16 06:00:00)
막고 한강 유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였습니다. 지역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의 유물들. <상주 석조 천인상> 보물/ 8세기 통일신라,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 입상> 보물/ 통일신라 후기, <신해명동종> 서곡동 출토/ 고려 1251년. 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의 유물들은 불교가 가장 번성했던 고려의 모습을 대변해...
『무이오빠네』캠핑이야기(2025-07-28 08:20:00)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있다. ⊙ 함창명주테마파크공원(명주테마공원) -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교촌리 함창명주 테마파크 공원은 경북 상주시 함창읍에 자리 잡고 있다...
대한민국 문화시설 정보(2025-01-14 13:00:42)
표현되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 역시 많이 마모되어 가장자리에 새겨진 불꽃무늬만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은 불상의 신체 굴곡도 약하지만 처진 어깨나 딱딱한 양손에서 정지된 위축감이 있다. 단정한 체구에 다소 경직되고 현실적인 면이 강해진 특징을 가진...
대한민국 쇼핑 정보(2025-06-24 10:47:42)
증촌리 석조여래입상과 좌상이 있는 상주 용화사는 직지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 676년에 창건된 사찰이라 전해지지만 정확한 연혁은 알 수 없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함창읍지>에 ‘사창 뒤 현탑동에 신라 고찰인 큰 절이 있는데, 석조 미륵상 2위가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석조 미륵상 2위란 바로 용화사 약사전...
고불심의 사찰소개(2024-01-26 08:00:00)
졌다. 석탑옆으로 여러석재들이 놓여있었다. 예전에 사찰에서 사용되던 석제들을 옮겨놓았다고 한다. 법당에 들어서니 석조여래좌상과 석조여래입상이 나란히 놓여있었다.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정확히 만들어진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불상의 신청 비례나 얼굴의 세부 표현 등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
여행하기 좋은날(2024-02-24 11:30:00)
상주 지역의 불교문화는 남장사(南長寺)가 건립되는 통일 신라 시대부터 꽃피웠다. 2023년 현재 100여 개 사찰이 운영 중이며,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등 많은 불교문화유산이 남아 있다. [상주 지역...
인기 여행 중(2025-05-22 00:10:00)
수 있다. <2020.8.23 촬영, 사적 제79호 고령 지산동 고분군> 후기 가야의 중심지였던 대가야 지산동 고분군과 성주 성산동 고분군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고...촬영, 보물 제120호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과 보물 제118호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보물 제118호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보물제118호 #상주증촌리...
부산 아재의 역사이야기 by 적연(寂沿)(2024-10-04 08:0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