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지도 이미지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1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보물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163-48
지정일자
1963-01-21
소유주체구분
국유
규모
1구
조성시대
고려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상주 시내 왕산 남쪽 기슭에 미륵전이 있어 석불 일구가 보존되어 있다. 이 석불은 원래 상주시 복용동에 있었던 것을 1975년 현재 자리로 옮긴 것이다. 복룡동에 있는 당간지주와 복룡동 일대에서 많이 발굴되고 있는 옛 기와쪽 등으로 미루어 보아 중고대에 이 곳에는 큰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석불은 견고한 화강석 하나로 조성된 여래상으로 결가부좌하였는바 양쪽 무릎과 오른손, 그리고 양어깨와 머리 부분에 파손이 심하여 광배와 대좌는 없어졌다. 파손된 머리에는 나발(꼬불 꼬불한 부처의 두발)이 뚜렷하게 남아있고, 양쪽 귀는 길게 늘어져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양 눈썹 사이에는 백호가 없고 아래를 내려다보는 두 눈은 눈 고리가 길게 옆으로 흘렀으며, 콧마루는 파손이 심하나 형태는 뚜렷하여 입술과 같이 작게 조각된 것이 주의를 끈다. 양쪽 볼은 비대한 듯 하나 약간의 웃음을 담고 입술에도 미소가 어리어서 둔중함 보다는 오히려 풍려한 인상을 주고 있다. 얼굴 모양은 원만하며 목에는 삼도(3개의 줄)가 돌려졌는데 그 선은 얼굴과 같이 매우 부드럽게 조각되었다. 어깨를 두른 법의는 두 팔에 걸쳐 밑으로 흘렀고 가슴 밑 배꼽 부분에서는 원호를 그리면서 두 무릎까지 흘렸는데 옷의 아름다움이 비단 같고 오른쪽 무릎 위에는 왼쪽 발바닥이 조각되어 있다. 수인(그 깨달은 내용을 양쪽 손가락으로 나타내고 있는 모양)은 오른 손은 크게 파괴되고 왼손은 다섯 손가락이 모두 파손되었으나 양손의 위치로 보아 지권인(왼손 둘째 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쥐는 형상)을 맺은 것으로 추측되므로 이 불상은 비로자나불이라 생각되며 만들어진 연대는 고려 초기인 10세기 경으로 추측된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34-0128
관리기관명
상주법우회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과 당간지주 – 경상북도 상주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된다. 팔의 위치와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싸고 있는 모습은 비로자나불상을 추정케 한다. 원래 석조여래좌상이 있던 곳은 상주시 복룡동이었으나, 1975년 현재의 자리로 옮겼는데 석불이 위치한 곳은 상주의 명산으로 알려진 서성동 왕산의 동쪽 중턱이며 남향의 보호각에 안치...

    자연이 주는 감동 Beautiful Korea 구석구석 이곳에(2025-04-18 04:40:00)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상주는 처음이지? 상주읍성에서 돌아볼 왕산공원, 상주향청,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상주중앙시장, 상점가

    있었습니다. ​ 이번에는 왕산공원에 있다는 문화재를 보러 갔는데요, 계단 몇 개만 살짝 올라가면 되는 높이라 누구나 방문하기 좋습니다. ​ 보물인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은 부처가 앉아있는 모습을 돌에 조각한 불상으로 상주 복룡동에 있던 것을 1975년 지금 자리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 불상 자세나 신체 묘사가...

    로즈가 전하는 문화와 여행(2024-11-13 14:46:00)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봄나들이, 낭송가협회 회원들과

    조선 후기의 목각탱으로 추정되고 작품의 우수성이 뛰어나 보물로 지정되었다. 철불좌상(비로자나불)은 보광전의 주존불로 조선 초기 철불상의 귀중한 자료로 높이 평가되어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병란이나 심한 가뭄이 닥칠 때는 스스로 땀을 흘리는 영험함이 있다고 한다. 노란꽃이 핀 꽃다지 남장사의 금당으로 고려...

    세상과 함께하는 우람별(논강)(2025-03-23 21:18:23)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상주 - 복룡동 당간지주, 석조여래 좌상

    것으로 추정되는 당간지주는 도로 옆 담장을 가진 안뜰에 자리하고 있다. [복룡동 당간지주] 이 당간지주는 돌단 위에 서 있는데, 다른 당간지주에 비해 다소...찾아 시내로 들어선다. [보물 제 119 호 복용동 석조여래 좌상] 상주의 왕산 아래는 옛 상주 동헌이 있던 곳이라 지금도 그 터를 보존 하고 있는데, 산으로...

    여일의 흔적(2023-12-21 21:05:47)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전통사찰 상주 연수암(蓮水庵)

    문화유산자료 1점]이 있다. 상주 지역 보물 20점 가운데 불교 관련이 15점으로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상주 석조천인상,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인기 여행 중(2025-05-22 00:10:00)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23.05)

    상주 평화의 소녀상이 보이고 소녀상 옆길을 따라 올라가면 석불이 나온다. 소녀상 옆쪽으로는 상주 지역의 불망비 등이 모여 있다. 석불을 보러 올라가는 길에는 보호수가 자리잡고 있다. 보물 119호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서성동 163-48 상락사에서 도보 5분 거리 다시 돌아가는 길에는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문화유산 탐사기(2023-09-20 23:09:00)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경북 상주 가볼만한곳 왕산역사공원 보물찾듯 산책<with> 노포 고려분식 커피팀버

    자세히 보면 상주고등학교 설립자 /왕사공원수축유공사 관찰사 등의 송덕비와 불망비,거사비 등 을 볼수 있었어요. 그리고 ,계단을 올라가면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을 볼수가 있는데, 부처가 앉아있는 모습을 돌에 조각한 불상 으로, 원래 상주시 복룡동에 1975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고해요. 가늘게 뜬 눈과...

    ❤️───혼여행book(2025-02-26 16:39:00)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김천시 - 성산여씨 하회댁, 김천 미륵암 석조미륵불입상, 김천 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

    형태는 후기적인 양식으로 보이기는 하나 흔치 않은 수법이다. 최근에 보수를 하여 상태는 매우 양호한 편이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정침의 우측에 있다. 건물의 배치 상태와 정침, 사당의 구조 등에서 지역적인 특징을 내포(內包)하고 있다." ​ "지금의 소유자인 여만종의 조부 여환옥...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5-06-21 20:00:00)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경북 상주 가볼만한곳,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이 되는 왕산역사공원 :: 월간 SNS 서포터즈

    조선 후기 무신으로 상주진 최초 영장으로 부임하여 2~3년 재임했다고 합니다. ​ 이렇듯 공덕비, 송덕비 옆에는 어떤 기념비 인지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 ​ ​ ​ 상주인의 삶과 애환을 담긴 상주읍성에 관한 내용도 있어요. 읍성은 글자 그대로 고을을 지키기 위해 쌓은 성인데, '읍'이라는 글자 자체가 성으로 둘러싸인...

    경북 상주시 블로그(2023-09-29 10:00:00)

  • 상주 복룡동 석조여래좌상 |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 & 석조여래입상 경북 여행 가볼만한 곳 통일신라신대 불상

    유적과 가야 유적이 몇개 있는데요, 그 중 오늘은 통일신라시대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상 2개를 소개드립니다. ​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좌상과 석조여래입상으로, 어떤 모습인지 방문 후기 공유드려요. ​ ​ 방문 정보 🏡 방문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257-2 📞 전화번호 : 054-537-7210 ⏰️ 운영시간...

    MJ의 방방곡곡(2025-03-17 08:4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