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상주 중촌리 석조여래좌상이다!!~~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석불상이다. 그리고 오랜 동종도 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고려때 만들어진 동종이다!! 상주 석조천인상인데 정말 작품이다!! 어쩜 이리도 화려하고 섬세하게 조각을 했을까 정말 엄청난 세공 기술이다!! 통일신라시대 금동보살입상이다!!~ 고려시대때 동제...
TREVEL YUMMY 전국 유명 맛집,명소,산행일기(2025-04-07 13:30:00)
진신이 상주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신 적멸보궁의 바깥쪽에 사리탑을 세우거나 계단(戒壇)을 만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불사리를 모신 곳이 많지만 그 중 대표적으로 5대 적멸보궁이 있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축산 통도사의 적멸보궁.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중대(中臺...
수카 다르마(2024-08-06 07:01:31)
보살이 상주한다는 산의 이름을 따서 '낙가산'이라고 하고, 관세음보살의 원력이 광대무변함을 상징하여 '보문사' 라 이름 짓고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처럼...이 절의 역사는 사찰의 격에 비하여 자세히 전하지 않으며, 조선시대 후기부터의 역사만이 전해지고 있다. 출처: 보문사 홈페이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少欲知足의 삶(2024-09-19 09:27:00)
아울러 천인인지 사람인지 모를 상감된 동자가 무척이나 재미있다. 국립대구박물관의 시그니처 문화재라 할 수 있는 금동당간용두이다. 이건 쓰임이 무엇인지 장황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바로 박물관 초입에 용두는 물론 당간의 형태와 쓰임이 어떠한지 한눈에 알 수 있는 조형물이 있기 때문이다. 어때? 다른 말이...
카르페디엠(2024-04-19 11:54:00)
상주 석조천인상(尙州 石造天人像) 문화유산 > 보물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84 상주박물관 자세히 보기 사진 정기룡장군 유물(鄭起龍 遺物) 문화유산 > 보물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84 상주박물관 사진 상주 상오리 7층석탑 문화유산 > 보물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699번지 사진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
경남_김해철물점_정암철물(2024-05-25 14:30:00)
중~후기 들어서 바닥에 쓸릴 정도로 길고 넓어졌다는 기록이 유명하다 보니 가끔 여말선초 이전에는 소매가 좁았던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출처 : https://x.com/HanbokPantry/status/1780848192860700982 )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 하외주 소장 토우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저고리 위에...
그림이나 올리자(2024-04-18 18:38:00)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244호)과 동일한 특징을 보여주어 당시 조각수법과 신앙형태를 알 수 있다. 석탑기에 의해 9세기 후반에 만들었다는 절대연대가 밝혀져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축서사) 보광전 신중탱화 축서사 석등(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58호) 축서사 내...
희야의 소소한 일상(2023-10-02 12:52:00)
경주와 상주, 강원도는 대표도시 강릉과 원주의 앞글자를 합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경기도만 예외적으로 서울 경(京) 자에 경기 기(畿)란 한자를 쓰며 그 뜻은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500리 이내의 땅을 말한다. 참고로 북한의 도 이름을 살펴보면 황해도는 황주와 해주, 함경도는 함주와 경성, 평안도는 평양과 안주의...
『답사의 신』과 함께 하는 국가유산 답사여행(2023-11-01 16:04:00)
승려들이 상주하며 수행했다는 주지 법공스님의 설명이 사실이라면 수배자의 은신처로서는 부적합해 보인다. 그런 대사찰에서 완벽한 보안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묵언이 특기라지만 3,000개 입이며 1만 8,000개의 눈과 귀와 발을 무슨 수로 막을 것인가. 게다가 절 주변의 지형지물로 보아 자급자족할 만한...
쿤타킨테의 소소한 일상 이야기(2023-09-26 22:40:00)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고려 ③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 고려 ④ 평창 월정사 8각 9층 석탑 – 고려 ⑤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 고려 법화경서사보탑도(법화경서탑도) 〈법화경서사보탑도〉, 고려후기, 일본 교오고코쿠지(敎王護國寺) 소장. 고려후기에는 국가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귀족들의 개인적인...
한국사 길라잡이(2024-05-12 11:4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