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지도 이미지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1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문화유적지정번호
지방유형문화재 제160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동산문화재
소재지도로명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
소재지지번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17-31
지정일자
2011-08-1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월정사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상원사 문수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7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 제석천왕상으로 드문 불상임
관리기관전화번호
033-339-7000
관리기관명
월정사
데이터기준일자
2025-06-20
제공기관코드
4,281,000
제공기관명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블로그 리뷰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평창 오대산 상원사

    상태가 양호하고 조각적으로도 뛰어난 조선 후기의 목조상으로, 불교 미술사적 가치가 높아 2011년 강원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강원 유형문화유산 사진출처: 국가유산청 문수전 불단 좌측에 제석천단이 마련되어 있다. 사진은 보관을 벗은 모습과 쓴 모습의 제석천이다...

    세월은 흘러 유적을 남기고(2025-10-04 13:38:00)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60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2023년 12월 28일>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60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조선시대 중기 / 1645년(인조 23년) ​ ​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60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平昌 上院寺 文殊殿 木造帝釋天王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11.08.12...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4-01-23 11:26:00)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오대산 상원사 그리고 문수동자

    이 동자상 3구는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조각적으로도 뛰어난 조선후기의 목조상으로, 불교미술사적 가치가 높다.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平昌 上院寺 文殊殿 木造帝釋天王像) 이 제석천왕상은 복장유물이 완전하게 보관되어 있어 1645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카 다르마(2024-08-10 07:00:23)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93. 평창 오대산 상원사 五臺山 上院寺

    유산 ​ 조선전기 승려 신미 · 학열 · 학조 등이 세조를 위하여 오대산 상원사를 중수할 때 작성한 문서. 중수기 · 불교문서. 월정사 박물관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平昌 上院寺 文殊殿 木造 帝釋天王像)​ 강원도 문화유산 ​ ​ ■■ 상원사 봉황보당 상원사 봉황보당 ​ ​ ​ ■■ 상원사 동종 상원사 동종 상원사...

    달리고 공부하고 기도하라 주주주走株呪(2025-08-29 11:39:00)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평창] 상원사

    경우가 아니였다. 목조상의 조성 시기는 조선시대 후기(17세기)라고 한다. 상원사(上院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 제석천왕상(平昌 上院寺 文殊殿 木造 帝釋天王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세조와 관련된 고양이를 기리는 석물 내가 상원사에 처음...

    블로그(2024-07-07 13:18:00)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평창 오대산 상원사, 중대 사자암, 월정사

    가장 오래된 것이며 국보이다. 문수전 문수보살이 상주하신다는 사찰답게 청풍루를 올라오면 바로 서있는 전각이다. 전각내부에는 목조 문수동자좌상과 문수보살상, 목조 제석천왕상이 봉안되어 있다. 사진 촬영은 불가라서 예전 사진으로 대신한다. 목조 문수동자좌상(국보)과 문수보살상 문수전앞 고양이 탑 세조를...

    산과 산사 이야기(2025-08-08 10:00:52)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평창 오대산 상원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14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로 통일신라 33대 성덕왕4년 (704) 승려 보천과 효명이 창건한 사찰로...당나라의 문수신앙을 수용한 후 문수도량으로 유명하다.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탐방 지원센터 관대걸이 까페와 관대걸이 세조임금과 문수동자의 인연이 깃든...

    옥토의 달빛 정원(2025-09-16 16:57:00)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오대산순례길] 월정사성보박물관 251008

    상원사 문수전에 있다. ​ 성보실 성보실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인 본사 월정사를 비롯하여 본말사들의 불상 및 불화와 복장유물들인 성보(聖寶) 문화재들이 가득...조선 후기 1711년 숭식, 여철 조성 강원도 유형문화유산 제158호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平昌 月精寺 南臺 地藏庵 木造地藏三尊佛龕...

    산돈과 꿈꾸는 방(2025-10-14 23:43:00)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평창군 문화재 및 관광지

    목조지장삼존불감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59호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60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61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동자상(3구)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62호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

    산나드리(2025-08-26 16:38:00)

  •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 평창 상원사 천년고찰 여행일기 2 - 문수전 둘러보며 기운을 가져간다.

    160호이며 목조제석천왕상이다. 문화재로 지정될 정도면 상당히 오래된 듯하다. 기록에 의하면 1466년 세조의 둘째 딸과 남편인 의숙공주와 정현조의 왕실의...차실 살짝 둘러봤다. 한암중원 불과 4분 사이에 찍은 사진이지만 문수전의 어느 위치에서 찍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문수전은 넓은 건물임에도 내부는...

    사찰 여행일기(2024-06-12 10:38:17)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