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지도 이미지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0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상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문화유적지정번호
제922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보물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1길 259-22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502
지정일자
1987-07-16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점
조성시대
조선시대 후기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목각상은 보광전 주존본인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鐵造毘盧자那佛坐像) 뒷편에 있는 후불(後佛)상이다. 길죽한 판목 일곱 장으로 연결하고 위에는 길게 1판석을 놓아 모두 여덟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문(銘文)이 없어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중앙에 결가부좌한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두고 좌우로는 관음(觀音)과 대세지를 비롯하여 4구씩 3열로 비천(飛天), 권속(眷屬)을 조각하고 있다. 중앙의 좌상은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로 앉은 아미타불인데, 수인(手印)은 설법인(設法印)이고 광배는 거신화염광(擧身火焰光)이다. 관음과 대세지보살은 연화좌 위에 앉았고 다른 상들은 입상이거나 무릎을 꿇은 형태이다. 각 조각물 사이에는 보상화(寶相華)와 연화문, 연봉(蓮峰) 등으로 장식되어 있다. 윗 부분에는 중앙 본존의 두광에서 솟은 서운이 피어오르면서 두 줄기로 갈라져 천상계(天上界)를 구획하고 비천이 배치되어 있다. 보광전 개금불사 인연록(普光殿 改金佛事 因緣錄)에 보면 1928년 개금한 기록이 있지만 정확한 조성연대는 알 수가 없다. 전반적인 수법이나 양식경향이 대승사(大乘寺)의 목각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조선후기(19세기경)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34-6331
관리기관명
남장사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