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지도 이미지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문화유적지정번호
지방유형문화재 제13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동산문화재
소재지도로명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
소재지지번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17-31
지정일자
2001-12-29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월정사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1868년(고종5)에 제작된 불화로 19세기 중엽 이후 불화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음
관리기관전화번호
033-339-7000
관리기관명
월정사
데이터기준일자
2025-06-20
제공기관코드
4,281,000
제공기관명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블로그 리뷰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오대산 월정사 선재길

    일괄,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 석가여래 좌상 및 복장유물, 운흥사 목조 아미타불 좌상 및 복장유물, 용다사 동종, 영원사 비로자나불후불탱화, 영원사 감로탱화, 구룡사 삼장보살도 복장유물, 운수암 관음변상탱화, 운흥사 천룡탱화,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일괄, 영은사 사명당 대선사 진영, 영은사...

    산울림(능인원)(2025-08-01 15:07:33)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전통사찰65-영월 보덕사(feat. 단종추모 영산대재)

    자료 제23호로 지정되었고, 보덕사의 부속 암자인 금몽암은 1984년 6월 2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5호로 지정되었다. ​ 사성전 삼존불상은 2001년 12월 29일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이라는 명칭으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 이밖에도 보덕사의 해우소는, 2003년 1월 18일 영월 보덕사...

    LIVING PLUS---생활의 기록(2025-04-29 13:26:00)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영월 보덕사: 산신각, 안심료, 칠성각, 사성전, 단종어각, 해우소(2024.04.28)

    생소한 전각이다 ​ 사성전 보통 주존불로 석가모니부처님과 좌우 협시는 아난존자와 가섭존자가 하는데 여기는 협시를 보살들이 하고 있다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報德寺 四聖殿 後佛幀畵 및 腹藏遺物 ]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와 복장...

    정혜의 세상사는 이야기(2024-04-30 14:17:00)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영월 보덕사 금몽암//발산/사찰 나드리/걷고 힐링하고 맛점하고 풍경사진촬영하고/오랜 세월과 바람 속...

    부속 암자인 금몽암은 1984년 6월 2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5호로 지정되었다. 사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삼존불상은 2001년 12월 29일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이라는 명칭으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전통적 형식을 지닌 보덕사의 해우소는 2003년 1월 18일 영월 보덕사 해우소라는...

    뿌리 3030N(2024-09-13 08:44:00)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1] / 2023.11

    유물 복장낭 조선시대 후기 / 1868년(고종 5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9호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발원문 조선시대 후기 / 1868년(고종 5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39호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다라니 조선시대 후기 / 1868년(고종 5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3-11-26 10:17:00)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_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_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報德寺 四聖殿 後佛幀畵 및 腹藏遺物) 수 량 : 1폭 지정일 : 2001.12.29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성보박물관 (동산리) 시 대 : 조선 후기 1868년(고종 5)에 제작되어 연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필선과 구도, 본존과 보살상의...

    기리여원(2021-08-08 10:09:25)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3.09.22)

    2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 ​ 영월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조선 1868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 ​ 영월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조선 1868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 ​ 영월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조선 1868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 ​ 영월 보덕사 사성전...

    산이 나를 오라하네(2023-09-27 13:15:00)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평창 여행 2일차 1편

    되어있다. (월정사 성보박물관 팜플렛 일부분) 삼척 영은사 석가삼존도와 복장유물 흥녕선원지 출토 금동반가사유상 ​ 7세기 삼국시대 평창 오대산 중대 신중도...석조관음보살좌상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영월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오대산 월정사 중대 향각 석가모니도 실제 석가모니의 #진신사리 를...

    호아 하카나나이아(2025-08-24 15:23:00)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오대산의 보물창고, 월정사 성보박물관에서 천년의 불교 문화를 만나다: 국보급 유물과 함께하는 시간여행

    조선 후기 불교 미술의 뛰어난 예시로, 역사적 및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 입니다. ​ ▪︎역사와 현재 위치 ​ 이 탱화는 원래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위치...를 비롯한 15명의 화승들이 함께 제작했습니다 ​ ▪︎탱화의 구성과 특징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중앙 본존: 커다란...

    긍정 아이콘! 열정 부자! 月人(2025-01-05 15:20:00)

  •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 평창군 문화재 및 관광지

    유형문화유산 제137호 운수암 관음변상탱화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38호 운흥사 천룡탱화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39호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및 복장유물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40호 영은사 범일국사진영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41호 영은사 사명당대선사진영 강원특별자치도...

    산나드리(2025-08-26 16:3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