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지도 이미지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2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문화유적지정번호
지방유형문화재 제15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동산문화재
소재지도로명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
소재지지번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17-31
지정일자
2011-08-1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월정사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후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화려하고 복잡한 형태의 보관을 쓰고 있는 얼굴은 고려말 조선초에 비해 사각형의 얼굴형태를 보여 줌
관리기관전화번호
033-339-7000
관리기관명
월정사
데이터기준일자
2025-06-20
제공기관코드
4,281,000
제공기관명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블로그 리뷰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 오대산 월정사 ] 강원도 여행지, 전나무 숲길과 산사의 평화로움 영월사

    삼척 천은사 금동 약사여래 입상,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 비로자나불 좌상,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 지장 삼존 불감,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 미륵보살 좌상, 삼척 지장암 목조 지장보살 좌상과 복장 유물, 평창 월정사 전패, 평창 월정사 밀부 등이 있다. 또한 월정사 탑돌이는 강원특별자치도 무형...

    우리 다 모두(2025-10-21 00:59: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오대산 월정사 선재길

    삼척 천은사 금동 약사여래 입상,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 비로자나불 좌상,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 지장삼존불감,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 미륵보살 좌상, 삼척 지장암 목조 지장보살 좌상과 복장유물, 평창 월정사 전패, 평창 월정사 밀부 등이 있다. 또한 월정사 탑돌이는 강원특별자치도 무형...

    산울림(능인원)(2025-08-01 15:07:33)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국립춘천박물관 특별전시 <오대산 월정사: 절, 산 속에 피어난 이야기> [3]

    및 권속 목조 제 1존자상, 목조 제 4존자상, 목조제화갈라보살좌상 조선시대 중기 / 1711년(숙종 37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59호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조선시대 중기 / 1710년(숙종 36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 157호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조선시대...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3-11-24 21:44: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기획전시 '오대산 월정사' (영은사 사명당 대선사 진영, 월정사 밀부, 팔만대장경, 평창 상원사 영산전...

    원래 북대 고운암에는 고승 나옹이 사찰을 창건하면서 만든 불상이 있었은 17세기 말 흉년으로 사라졌고, 1710년에 새로 이 상을 비롯한 석가삼존상이 조성...전시 자료에서] ​ '오대산 북쪽 봉우리에 자리한 미륵보살'이라 소개되어 있는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강토의 사진(문화유산)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3-12-20 22:50: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오대산순례길] 월정사성보박물관 251008

    조선 후기 강원도 유형문화유산 팔만대장경 (八萬大藏經)​​ 월정사에 있는 팔만대장경은 해인사의 고려대장경 경판에서 직접 찍어온 것이다. 조선 고종 2년(1865)에 찍어내어 월정사에서 보관하고 있다. 크기는 가로 84.6㎝, 세로 24㎝이고 한지에 인쇄하였다. 판의 끝에는 경전의 이름과 권수의 간행 차례가 기록되어...

    산돈과 꿈꾸는 방(2025-10-14 23:43: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평창군 문화재 및 관광지

    비로자나불좌상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58호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59호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60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61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산나드리(2025-08-26 16:38: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평창 오대산 상원사

    초입 월정사에서 중대사자암으로 가다가 우측의 경사진 석축을 따라 올라가면 우측에 공사가 거의 끝나고 마무리 단계에 있는 안초당(安艸堂)이 들어서 있고...기둥에는 상원사 지혜수, 중대 옥계수, 동대 청계수, 남대 총명수, 북대 감로수, 서대 우통수라고 쓴 한강 시원지 팻말이 걸려있다. ​ 요사채 현대식 콘크리트...

    세월은 흘러 유적을 남기고(2025-10-04 13:38: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오대산 비로봉~상왕봉 등산

    오대산 월정사 산내암자로 지리적으로 오대산의 가장 중심에 위치한 중대는 동대, 서대, 남대 북대에서 부처님께 절을 하는듯한 기운이 모이는 곳에 중대사자암 적멸보궁이 있다. #우리나마5대적멸보궁 ​ 오대산 중대에 위치한 적멸보궁은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께서 직접 불사리를 모신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의 한곳...

    shinny96님의 블로그(2025-10-05 03:16: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사찰 순례(山寺巡禮) 《11》 월정사·상원사

    조선 후기 이익공 양식이지만, 내부 건물은 조선 초·중기의 건축물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공안 및 모각소로. 건물 뒤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탑이 있다...내려오는 도로 양편에도 전나무들로 가득하다. ​ ▶ 오대산 북대 미륵암 상원사 주차장 다리 건너 북대 가는 길 입구에 서면 망설여진다. 산악도로를...

    방랑산천(2025-08-05 21:05:00)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 고려 역사와 문화: 불교 예술의 발달, 고려 불교 대표작품

    송·원나라 기술과 문화 수용 후 고려만의 독창적 미술 양식 발전. 불교 예술의 대표적 작품 ​ 고려 초기 고려 후기 불상 -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 (대형 철불) -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지역적 특색 반영, 거대 석불)​ - 불화 중심으로 발전 (불상 제작은 상대적으로 감소) 석탑 - 평창 월정사 8...

    opensoda 오픈소다(2025-09-26 01:53: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