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졌다. 창석사당과 월간사당은 같은 구조로 대문채는 정면 5칸 중 좌측에서부터 문간방, 대문간, 고방, 방, 부엌의 순으로 되어 있었으나, 대문간은 앞쪽을 토벽으로 막고 고방은 앞쪽을 개방하여 마루로 개조하였다. 사당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원형으로 다듬은 주초를 놓아서 원기둥을 세웠다. 지붕은 겹처마로...
대한민국 관광지(2025-07-24 14:40:27)
조선 후기의 조세제도인 대동법의 시행을 주도한 인물로 잠곡 김육, 오리 이원익 등을 꼽는데, 현대인들에게도 잘 알려진 백사나 서애, 혹은 잠곡에 비해 오리 이원익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인물이다. 현 광명시 소하동에 위치한 ‘충현서원’은 1868년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으나 1925년에 복원된 것이고...
길 위의 인문학(2025-08-02 11:46:00)
건물이네요. 사당에는 경현사(景贒祠) 편액을 걸었습니다. 경현사는 문이 닫혀있어 안을 볼 수는 없었는데요. 문에 작은 구멍이 생겼더라고요. 그래서 스마트폰...상주 지역 유학의 학맥을 이은 학자이고 월간(月澗) 이전(李㙉)[1558~1648]·창석(蒼石) 이준(李埈)[1560~1635]은 형제인데,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한빛과 함께 여행 가자!(2024-10-30 23:47:52)
제이 창석 준 형제급란도(題李蒼石埈兄弟急難圖)> 시를 썼다. 1609년(己酉) 8월, 이재(願齋) 조우인(曺友仁)이 상목경차관(桑木敬差官)이 되어 관동지방을 순찰...崇仁殿) 비문을 썼는데, <승인전 비명(崇仁殿碑銘)>은 오산의 찬이며, 기자의 사당인 기자묘 비문 즉 <기자묘 비명(箕子廟碑銘)>은 월사 이 정구의 찬이다...
상주핫포커스(2025-06-06 21:00:28)
문은 사당에 모셔진 신이 다니는 길과 문이래요 ! 참배객은 오른쪽 계단과 문을 이용해 들어가고 나올때는 왼쪽문과 계단을 이용해야 하니까 참고하세요 ㅎㅎ...근처에 있던 사무실에서 모두 근무하시나봐요 옛날 지도부터 월간 창석 형제 급난도, 임진왜관 연표도 볼 수 있네요 ~ 아담한 규모지만 나름 잘 관리되고...
♡(2024-10-29 20:24:00)
발견. 창석 이준(李埈)이 지은 상량 기문이 있다. 면적은 156.2㎡(약 47.3평)이다. 앞면에 퇴칸을 둔 익공계 건물로 다포에 7량 가구를 한 겹처마 맞배지붕이다...한다. 가 보자. 도남서원(道南書院)은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으로 1606년(선조 39) 정경세 등 상주 지역 유생들이 창건한 서원이다...
touryun1945님의블로그(2024-12-21 07:56:00)
조선후기 유성룡(柳成龍)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 사적. 본 서원의 전신은 고려 말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으로 풍산유씨(豊山柳氏)의 교육기관이었는데, 이를 1572년(선조 5) 유성룡이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1613년(광해군 5)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성룡의 학문과 덕행을...
내발길 머물던 기억속에(2024-08-07 00:08:02)
조선 후기 문신 모당 홍이상(慕堂 洪履祥, 1549 ~ 1615)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1786년(정조 10년) 창건하였다. 모당 홍이상은 식년문과에 장원하여 예조와 호조 좌랑과 직제학,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서경까지 왕을 호종하였으며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와 대사성에 올랐다. 이후 성혼...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4-10-17 16:50:00)
진 사당으로 매년 4월 규남제를 봉행하고 있는 곳입니다. 규남 하백원(1781~1844)은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에서 태어나 1834년 음직으로 피천되어 창릉참봉, 금부도사, 형조좌랑, 석성현감 등을 역임했습니다. 조선 후기 많은 실학자와 마찬가지로 유학은 물론이고 천문, 지리, 율력, 전각, 산술, 서화 등을 섭렵하고...
행복의 유효시간은 지금(2024-08-26 05:00:03)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중환(李重煥, 1690~1752)은 저서 『택리지(擇里志)』에서 ”조선 인재의 반은 영남에 있고 영남 인재의 반은 일선(一善)에 있다“고 말...곳이라 했습니다. 상주에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1563-1633)와 창석(蒼石) 이준(李埈, 1560-1635) 같은 훌륭한 선비나 높은 벼슬을 지낸 사람들 및 부유...
먼 곳에의 동경(2024-06-08 19:24:13)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