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상주 인평동에 있던 탑으로, 우암산 정상 부근에 흩어져 있었던 것을 용흥사로 옮겨 관리하였다가, 1998년 현재의 자리인 북장사 경내로 옮겨 북장사삼층석탑으로 이름을 바꾸어 새로이 복원하여 세웠다.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원래 기단 일부와 탑신의 3층 몸돌 1개, 지붕돌 3개만 남아 있었다. 아래·위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낙수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 올라갔으며, 밑면에 5단의 받침을 두었다.남아있던 기단과 지붕돌 등 부재들의 양식상 특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