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구 춘포역사 🔜 익산 왕궁리 유적과 오층석탑 🔜 익산 제석사지🔜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9. 20(토) 익산여행의 마지막으로 찾은 왕궁리 일대의 문화유산 왕궁리...전해지는 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이 유적은 적어도 세 시기(백제 후기~통일신라 후기)를 지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석탑 동쪽으로 30m...
소풍인생(2025-09-25 09:02:00)
원래 갑사의 뒤편 사자암에 있던 것을 옮겨 왔다고 전해진다. 갑사석조약사여래입상甲寺石造藥師如來立像 갑사석조약사여래입상甲寺石造藥師如來立像 보호각 담...Temple '공우탑'은 소의 공적을 기린다는 의미로, 갑사 공우탑은 조선 후기 갑사의 중건 과정에 얽힌 전설에서 비롯되었다. 갑사는 나라에서 토지를 내려줄...
소이부답 笑而不答(2025-10-10 22:06:00)
바라보고 있어도 말 없이 수많은 이야기를 전해주는 듯 느껴졌습니다 석조여래입상과 함께 자리하고 있는 동본리 삼층석탑은 높이 4미터, 기단 폭 1.6미터의...탑의 각 부분 아래에 있는 굄돌이 간략하다는 부분에서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탑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윗층 기단 아래가 묻혀있어 원래 기단이...
꿈꾸는 양촌댁(2025-07-17 23:45:00)
안녕하세요.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장소 : 전북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400-2 장소 :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1086 익산고도리석불입상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400-2 익산고도리석불입상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1086 B지역의 석불 모습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나간 여행일기 및 맛집(2025-03-12 17:06:00)
내세우고 있으나 정작 창건설화는 신라 후기인 9세기에서 놀고 있으니 서로 시기가 어긋나는 함정을 보여준다. 그래서 백제 성왕 시절 창건설과 도선대사 창...등 8~9동 정도의 건물이 있으며, 소장문화유산으로는 국가 보물인 석조여래입상과 지방문화재인 석등, 7층석탑이 있어 이곳의 오랜 역사를 아낌없이 알려준다...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2025-10-08 09:01:28)
궁예 미륵"이라고 부른다. "민초들의 힘"... 우리 문화유산 사랑 부엉님 안성 "국사암" 안성 "국사암"은 근래에 불사한 사찰 극락전 "안성 국사암 석조여래입상" 일명 "궁예 미륵". 국사암 내에 위치한 삼존불 형식 이 불상들은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 지상에 노출된 본존의 높이는 310cm 3단의 원형 보개를...
우리 문화유산 여행(2025-09-29 08:01:00)
위에는 모자 모양의 천개(天蓋)가 씌워져 있는데, 이는 근래에 만들어진 것으로, 후대에 ‘갓바위’처럼 덧씌워진 사례라 할 수 있다.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은 통일신라 후기의 조각예술과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신체의 비례, 의복의 주름 표현, 얼굴의 온화한 미소 등은 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세상 밖으로(2025-08-19 14:50:00)
이를 가상히 여긴 세종이 매년 공양미 1섬씩을 석불 에게 보냈으며, 조선 후기까지 계속 공양을 올렸다고 한다. 하여 이를 통해 배로 조세나 쌀을 나르던 선원...전설로 다듬었을 것이다. 2. 옆에서 바라본 망해암 석조여래입상 용화전에 소중히 깃든 석조여래입상은 망해암에서 가장 늙은 존재이자 이곳의 대표 보물...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2025-07-29 20:00:11)
수승대출렁다리에서 Y자형출렁다리로 이동 중에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안내판이 있어서 가보았다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보물) 석조여래입상은 통일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하며 예전에는 이 부근에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보물) 【거창 Y자형출렁다리...
방방곡곡 여행블로그(2025-07-30 12:24:00)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8세기 중엽 통일 신라시대 후기에 제작된 석조불상으로 원래 이 불상이 서 있는 자리에는 금양사 혹은 노혜사라고 불리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1963년도에 지정된 보물 377호-나무위키에서 김천 구성면 방초정 조선 선조(재위 1567~1608)때 부호군(조선시대 오위도총부에 속한 종사품 벼슬...
등네미(2025-09-10 10:42:32)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