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박정원 기자/ 승인 2024.07.19 12:13 18세기 아미타여래회도 조성 기준 자료 (상주시 문화예술과)극락정사 아미타여래회도 [통불교신문=박정원 기자] 경북 상주시는 화서면의 극락정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아미타여래회도'가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극락정사 아미타여래회도/극락정사 극락정사 소장의...
통불교신문(2024-07-19 12:16:00)
아미타여래회도’[사진/상주시] 상주시 화서면의 극락정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아미타여래회도’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극락정사의 ‘아미타여래회도’는 비단 3폭을 잇대어 바탕을 마련한 것으로 전체 크기는 폭 170cm, 길이 133cm 규모의 채색 불화이다. 방형의 화면에는 중앙에 아미타불 삼존을...
sangjusori119님의 블로그(2024-07-19 09:19:00)
[경상투데이] 상주시 `극락정사 아미타여래회도`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됐다 상주시는 화서면의 극락정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아미타여래회도`가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극락정사 소장의 `아미타여래회도`는 비단 3폭을 잇대어 바탕을 마련한 것으로 전체 크기는 폭 170cm, 길이 133...
대구경북대표일간지 경상투데이(2024-07-21 17:28:00)
고려 후기 율사(律師)인 정자(淨慈)가 창건한 사찰이다. 경국사(慶國寺)는 서울 성북구 정릉동 삼각산 동쪽에 위치하고 대한불교조계종 직할 교구 본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경국사 사적기에 의하면 1325년(충숙왕 12) 율인 정자(淨慈)가 창건하였는데, 절이 청봉(靑峰) 아래에 있어 청암사(靑巖寺)라 하였다...
피안의 세계(2025-10-21 14:49:00)
거대한 아미타불상입니다. 이 불상 주변으로는 크고 작은 보살상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표정과 자세가 모두 달라서 보는 재미가 쏠쏠해요. 마치 극락세계의 모든 존재들이 한자리에 모여 있는 것 같은 장관을 연출하죠. 석굴 내부의 조명은 은은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불상들의 자비로운 미소가 더욱 신비롭게...
운앤은이슈(2025-09-26 10:20:25)
법화 정사나 천안 구룡사의 법화경 사경 봉안을 했던 곳과 같은~~ 보현전 맞은편 길게 늘어서 건물은 보현전이라고 되어있다. 안쪽으로는 세계불교 박물관...이곳은 아래층은 지혜의 보살 문수보살을 모신 문수전 2층은 아미타 부처님을 모신 극락보전이다. 시원한 감로수릏 지나 무일선원의 주 전각이 있는 큰 법당...
희야의 소소한 일상(2025-08-25 06:00:00)
이 보이네요 . . . 관음전'에 . .. '아미타여래회도' 라는 그림도 있다네요 . . 아미타여래회도' 는 서방극락 세계에서 아미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그림을 그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고려 후기에 제작된 관음보살상이다. 앞에 보물이라고 되어 있던 불상이에요 . . 저...
여행하는 고사목(2025-06-22 14:43:00)
복천암 극락보전 내 신미대사 진영 신미대사와 제자 학조대사 부도 신미대사는 세조의 복천암 방문을 계기로 세조의 거동 날짜에 맞춰 영동 반야사 중창을 지시했는데 세조와 더불어 복천암에서 9일간의 법회를 마친 후 영동 반야사 대웅전 낙성식에 함께 참석했습니다. - 세조와 반야사 복천암에서 반야사로 넘어와...
travel6265님의 블로그(2025-08-07 18:21:00)
진 극락보전은 화려하지 않고 수수함 을 간직한 단청이 없는 고풍스러움이 느껴진다. 정면 3칸, 측면 3칸 맞배지붕 아미타 삼존불인 대세지보살 관세음보살이 좌우에 협시 되어 있다. 아산 세심사 소조 여래 좌상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소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불상이다. 나무로 신체와 머리 등의 기본...
이은욱(2025-08-16 07:04:00)
정육년정사이월이십일(大正六年丁巳二月二十日)’(1917)이라는 화기의 기록이 있어 조성 시기를 알 수 있다. 대웅전 안 오른쪽 벽에 걸려있는 불화는 용주사에 있었던 것이었는데, 용주사에 머물렀던 스님이 이곳의 주지로 오면서 가져왔다고 전한다. 이 불화에는 ‘광서팔년임오중하조성초팔일(光緖八年壬午仲夏造成...
바람 속 갈팡질팡(2025-09-11 22:48: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