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조선후기 원취당공(휘 도순, 1748~1816년)이 처음으로 집터를 잡고 오헌공(휘 계룡, 1870~1948년)에 의해 완성되었다. 1918(戊午)년에 안채와 사당이 축조...그 보다 후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남도 대농(大農) 반가(班家)의 대표적 고택이다. 방촌마을의 대표적인 상류주택으로 안채‧사랑채‧사당‧문간‧연못...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5-05-05 17:08:09)
후 2012. 4. 13 국가 중요 민속문화재 제 270호 "장흥 오헌 고택"으로 지정되었다. 조선후기 원취당공(도순, 1748~1816년)이 처음으로 집터를 잡고 오헌공...높다. 특히 12代가 연속해서 문집을 남긴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원취> <소암> <호정> <춘파> <일오헌> <후계> <호곡> <상산> 사랑채에 (1)원취(願醉), (2...
栢江 위성록 이야기(2017-10-13 19:27:00)
제36호로 지정된 소암 정규헌 선생을 통해 옛 우리문화를 널리 알리고 시민들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한국무용, 국악, 시낭송 등 다양한 공연과 함께...길다. 이런 정기 공연 외에 올해는 증손자뻘 초등학생 4학년을 만났다. 사계고택에서 계룡시 관내 초등생들을 만났는데, 30분 내내 장난치는 아이들 하나 없이...
이지녕 쌩글삶글(2019-08-15 12:42:10)
현판은 소암선생의 것이다. 망미정 정자의 기둥과 지붕이 액자가 되어 그 속에 장항적벽이 들어서 있다. 옮긴 곳도 그 위치의 선정이 남다르다. 여기 정자 툇마루에서는 뭘 해도 그 재미를 제대로 느낄 것 같다. 장항적벽(노루목적벽) 지근거리에서 바라보는 장항적벽의 모습이 가히 장관이다. 장항적벽을 품고 있는 산...
서울사람 남도살이(2022-10-12 14:43:00)
병원 먼저 다녀왔어요.😢 푸른미래내과의원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23길 111 소암빌딩2층 반월당역 5번출구 근처이고, 토요일도 오후 1시까지 진료하십니다~! 약...고민하다가 이웃님 포스팅을 보고 스타벅스로 픽💓 '스타벅스 대구종로고택점'으로 소화시킬겸 열심히 걸어갔어요.🚶♀️ 한옥 구조가 특이해서 인상깊었는데...
Serendipity(2023-02-08 23:28:00)
조선후기 민간에서 매우 유행했던 그림이다. 호랑이는 양陽의 동물이며, 백수百獸의 우두머리이다. 능히 귀신과 도깨비를 잡아 후리치고 부려뜨리고 깨물어 먹을...기탁. 청송심씨 봉고정사 화호도畵虎圖,33.0*33.0 기탁. 안동권씨 가일 치암고택 오륜행실도 「누백포호」, 32.0*19.0 목판본 3책 기탁. 성산이씨 한주...
도귀들의 여행(2022-06-17 00:01:45)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 <트레킹 코스> 보경사(14:00)→상생폭포→보현암→소금강전망대→보현암→보경사주차장(16:20) 16:21보경사 출발, 16:36 장사리상륙작전 전승 기념관 주차장 도착 두 분은 처음이라고...가슴을 먹먹하게 만드는 곳이지만 꼭 한 번은 와야 한다고...나는 몇 번 다녀간 적이 있어 먼저 위령탑...
도전천사(2022-11-10 22:12:00)
조선 후기 초상화와 불교 미술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12.신동입석 종 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29호 지 정 일 1972.12.29 소 재 지 경북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산103 만든시기 선사시대 특징 입석은 다른 말로 선돌이라고 부르는데, 고인돌과 함께 청동기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유물이다...
이슬나라 시인 박상희(2013-06-23 13:24:00)
조선 후기 안동安東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대야大埜 류건휴柳健休(1768~1834)의 저술로, 조선 시대 학자들이 사서四書에 대해 담론했던 학설들을 모아 정리한 책이다. 즉, 논어집평에는 논어에 대한 조선 시대 경학자들의 경설經說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1) ‘동유논어해집평東儒論語解集評’이라는 표현...
전주류씨 22세손 류병훈의 사랑방(2021-07-24 16:36:00)
김정희고택을 들러,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원군묘와 해미읍성은 차로 스치면서 구경하고, 개심사에서 잠시 머문뒤, 서산 마애삼존불을 감상했다. 거친 파도가 이...절벽에 새겨진 백제 시대의 마애불로서 국보 제84호이다. 흔히 서산 마애석불 또는 운산 마애석불이라고 부른다. 백제 후기에 중국 및 고구려와의 해상...
선이의 다이어리(2010-01-23 17:4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