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장흥군 장흥읍, 용산면, 안양면 근제공 윤온계 후손들이 주로 세거. 장흥 최씨 문중회관과 묘역이 존재한다. 해남군 옥천면, 현산면 정렬공 윤덕계와 간이당...관촌면, 강진면 정렬공 최윤덕 계열의 대표 세거지. 관곡서원 및 정려각 소재지. 장수군 장계면 정렬공의 부조묘가 소재하며, 후손 종손들이 대대로 세거한...
뿌리 성씨 이야기(2025-09-01 17:36:12)
기리는 정려각과 그를 모시는 오봉서원이 근처에 있다. <현지 안내문에서> 근데, 조문을 오면서 흙을 가지고 왔다는 곳은 이곳 외에는 들어본 적이 없으며, 묘지에 뿌린 흙 외에 이 정도의 양이라면 수천명이 조문을 왔을 것 같은데 사실인지 모르겠다. 각도를 달리하여 바라본 강동구와 비각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지리산동남쪽(2025-02-26 15:20:27)
있는 성산 기슭 지하에서 약 4억 5,000만 년 전부터 생성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굴과 지굴의 길이가 760m, 입구높이 약 2m이며, 면적은 34만 9485㎡이다. 온달...동굴 단양산성 네이버 블로그 丹陽禹氏 (붉을 단, 볕 양, 성 우, 성씨 씨) 단양丹陽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姓氏. 시조는 우현禹玄이다. 1985년도 조사...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10-27 10:44:00)
정려문이나 정려각을 세워 기념하는 것이다. 각(閣)은 정려를 받은 사실을 기록한 현판이나 비석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임금의 권위에 따라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었다. 조준남(趟俊男) 명종 5년(1547)에 태어나 효행으로 소격서 참봉이 되었다. 선조 30년(1597) 음력 8월에 왜적들이 부장품을 약탈하기 위해 증조부...
태평양을 향하여(2024-06-28 16:05:50)
빌리지' 성산구 대방동에 있는 불곡사를 찾아간다. 불곡사는 고려 태조 18년(935)에 지었다고 전해지며, 수리하거나 다시 지은 기록은 전하지 않고 있다. 불곡사...다양하기는 하나 정교함이 덜하다. 불곡사 일주문은 세부수법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이다. 경남도 유형문화재 133...
김복현의 산이야기(2022-12-17 08:51:00)
제531호 지정일자: 2011-04-28 소유자: 성산이씨충순당종중 관리자: 성산이씨충순당종중 함안 검암리 충순당 정려각 | 역사적 배경 및 연혁 ● 임진왜란 때...씨근재공고택 유형 기타 주소 울산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 302 ● 조선후기 영조 때 학성이씨의 시조인 세종 때의 무신이자 정치가 이예(李藝)의 11대손인...
전통문화포털(2018-12-06 10:30:00)
조선 후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고 1788년 정자가 중건될 당시의 모습을 잘 유지한 채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의미가 있음. - 국가문화유산...조가 현재 위치로 옮겨지었다. 방초정이 있는 상원리 원터마을은 연안 이씨 집성촌으로, 이 정자는 선조를 추모하고 학문을 강론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2-02-20 00:39:00)
이 씨 묘역이 있습니다. 가옥은 문간채, 안채, 헛간채 총 3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초가입니다. 수내동 가옥은 신도시 공원 안에 있지만 가옥 옆에 수령이 오래된 향나무가 있고 주위에는 마을 어귀에 있던 느티나무와 연목, 정자 터 등 신도시 개발 이전의 모습도 담고 있었습니다. 제3길 구성현길 고구려에서 이름...
소바칸의 여행블로그(2021-10-26 18:05:00)
류씨정려각 - 13:27 쌍청각 - 13:38 법동석장승 - 13:45 법동전통시장 읍내동현대아파트 : 아들이 직장관계로 이곳 신탄진 액슬루타워에 살고있어 그동안 이곳을 오가며 금강댐도 구경을 하고 금강변을 산책도 하였다. 5일부터 2주일간 손자의 등하교를 도와달라는 연락을 받고 일요일 오후에 신탄진에 내려오게 되었다...
산나드리(2023-07-07 20:09:00)
시대 후기의 전형적인 사대부 가옥입니다. 예안김씨는 선성김씨라고도 하는데 현재 종친회에서 정식으로 부르는 이름은 예안김씨라고 합니다. 해우당과 만죽재가 특히 알려져 있으며, 김규진 가옥, 김위진 가옥 등 9점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와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해우당은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
데이터 고래의 여행(2023-05-22 13:06:54)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