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기지, 산성 마을)의 북서쪽에 이민수의 조카인 이약의 묘가 있다. 석물이 정비되고 개축된다. 이척의 묘는 K1 기지 좌측 능선에 있다. 이동현 묘는 K1 기지 내에 있다. 이민수와 이정빈 이민수와 풍산김씨의 합장묘는 북동쪽을 향하고 있다. 봉분 뒤쪽에 반달 모양으로 사성을 둘렀고, 봉분에는 호석이 없다. 봉분 앞...
산처럼 물처럼(2025-07-21 05:20:00)
문인석이다. 복두와 얼굴 부분의 규모가 전체 규모의 3분의1에 달한다. 다른 문인석은 금관조복 형태의 문인석으로 17세기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모습이다. 금관 형태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며, 홀기를 잡은 손과 옷소매 주름선이 다르게 조성되어 있다. 동자석은 일반적으로 머리를 양각(羊角)으로 묶은 쌍계형(雙髻形...
宅田書窓(2025-06-08 09:55:00)
130m, 외성부가 635m이고, 외성의 북쪽으로 이어진 능선부까지 합하면 1km가 넘는다. *테뫼식: 봉우리들을 둘러쌓아 성을 축조한 형태 ■ 탐방후기 : 복두산성은 세종특별자치시와 청주시의 경계선상에 자리하고 있으며,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가진 산성이다. 석축성벽으로 된 내성과, 내성에서 북서방향으로 뻗은 능선을...
잊혀져 가는 山城을 찾아서...(2021-01-28 21:04:00)
고려후기의 군대의 모습이 [고려도경]에 상세하게 전하죠. 그런데, 이 중 유독 눈길을 끄는 부대들이 있습니다. 신기군(神旗軍) 신기군은 가죽으로 머리를 쌌는데, 상부에 목비(木鼻)를 만들어 짐승의 이마 모양이 되게 한 것은 용맹스러움을 표시한 것이다. 붉은 저고리는 짧고 뒤에 또 두 쪽의 옷가리개를 덧붙이고...
까마구둥지(2024-10-29 07:11:00)
조선 후기에,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건(子建), 호는 탄수(灘叟)·탄옹(灘翁).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첨지중추부사...지냈다. 1636년(인조 14년)에 일어난 병자호란 당시, 어영부사로서 남한산성을 지켰다. 1642년 형조판서로 승진되었으며, 뒤이어 강화부유수·경상도관찰사를...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4-01-28 19:08:00)
여삼은 "복두를 벗은 것은 위에 다른 사람이 없다는 뜻이요, 소립을 쓴 것은 면류관을 쓸 징조이며, 12현금을 든 것은 12대손까지 왕위를 전한다는 조짐이며, 천관사 우물로 들어간 것은 궁궐로 들어갈 상서로운 조짐입니다."라고 하였다. "위에 주원이 있는데 어찌 내가 왕위에 오를 수 있겠소?"라고 경신이 묻자 아찬...
달곰달곰(2024-10-19 15:02:00)
산행후기 작성자:산새들 20xx.7.21(토) 울진 아구산(614m), 안일왕산(819m)메모 산행코스: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 안말래-아구산-임도-안일왕산-샛재-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태광천 (14km. 7시간)***아구지맥, 안일지맥 구간. (울진군의 진산(鎭山)인 안일왕산(安一王山)의 유래. 2천여 년 전, 동해안에는 강릉...
금샘 수풀(2023-09-16 07:27:00)
오른 사진이지만 똑같아요. 서남쪽으로는 은적산의 저산성과 복두산의 복두산성이 위치해 있고 사진에서 중앙으로 오송이 조망이 되네요. 북동쪽으로 미호천 옆...11일에 지정되었고 시대는 삼국시대라고 합니다. 산성 내에는 원삼국기부터 삼국시대 후기까지의 유물이 출토되고, 성벽의 기저부가 원상태로 남아 있으며...
소소한 일상생활(2021-06-14 18:31:20)
복두산에는 복두산성이 있다고 전해진다. 문의의 구룡산성, 작두산성, 양성산성, 청주 시가지를 건너 동으로 와우산 토성과 그 뒤로 상당산성과도 연결된다. 청주시에서 팔결 다리를 건너기 전의 미호천 변의 평지에 있는 정북토성과 정북토성에서 들을 건너면 바로 오창 산업단지의 진산인 목령산이 있고, 목령산에는...
느림보 이방주의 수필 마루(2009-04-28 00:59:25)
조선후기(17세기경) 177cm×39cm 문관석은 문신 형상을 하고 능묘를 수호하는 석인상이다. 능묘 앞에 한쌍으로 배치되며 문인석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포(袍)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를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차림이다. 문관석과 함께 능을 지키는 무신 형상의 무관석(武官石)은 대부분 왕릉에서...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2022-12-26 17:00:55)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