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대인관계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지만 모... www.heritage.go.kr <2024년 7월 27일>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 - 3층 상설전시실 - 배자예부운략 목판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 상설전시 <2024년 7월 27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국의...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4-08-01 19:30:00)
대거 소장되어 있어요. 보기만 해도 뿌듯하더라구요. 저는 그 중에 배자예부운략 판목이 기억에 남았어요. 공유를 위한 노력에 큰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어...#예끼마을#선상수상길#예안국민학교#한국국학진흥원#안동호#안동댐 #문화충전팸투어#문화충전200% -서포터즈로 지원받아 직접 체험해본 솔직한 후기입니다...
Not(2025-05-25 23:47:00)
경우도 다수의 복간復刊이 이루어졌다. 이 책판은 개인문집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영남지역 목판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2. 배자예부운략(排字禮部韻略) 조선후기/ 61.4×22.0×4.0/ 자체 : 해서 / 기탁 : 밀양박씨 선암문중 / 보물 제917호 시詩나 부賦를 지을 때 운韻을 찾기 위하여 만든 자전字典인...
인생의 길목에서(2012-07-01 10:56:00)
경우도 다수의 복간이 이뤄졌다. 이 책판은 개인문집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영남지역 목판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배자예부운략(排字禮部韻略·조선후기)=보물 제917호. 시나 부(賦)를 지을 때 운을 찾기 위해 만든 자전인 배자예부운략을 판각한 책판. 과거 응시생들이 주로 사용했던 까닭에 과거를...
포항 오도리 해수욕장 '해뜨는 오도펜션(Sun Rising)'(2014-12-10 15:55:00)
시부(詩賦)의 운(韻)을 찾기 위하여 만든 자전(字典)으로 고려시대 이후 선비들의 필수적인 자전이었으며, 조선후기 활자 인쇄술과 서지학, 국어학· 음운학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님. 또한 내사기(內賜記)가 있어 그 가치가 높음
달(2016-05-08 20:53:00)
1679), ≪배자예부운략≫ 5권 2책(연대미상) 등 한결같이 106운인 ≪예부운략≫이 단연 많고, 이밖에 ≪고금운회거요≫ 30권(1593), ≪홍무정운≫ 16권 5책(1770) 등이 간행되었다. 중국운서에 한글로 표음한 것으로는 ≪홍무정운역훈≫과 이의 색인격으로 만들어진 ≪사성통고(四聲通攷)≫가 있으며, 중국 본토자음을...
水西散人(2018-04-30 15:08:27)
탐방 후기 포스팅> 청도 신지생태공원 주차장 (입장료 및 주차료 무료) 청도 신지생태공원은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 청도 금천면사무소, 동곡리 소재지 남쪽 동창천을 낀 한적한 곳에 위치해 있으며, 인근에 금천초등학교, 금천체육공원, 섶마리 한옥마을 등이 있다. 대구 근교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이라, 주말임...
대구 멋쟁이 신사(2024-09-16 05:30:00)
배자예부운략 목판 (排字禮部韻略 木板) 보물(寶物) 제917호 시나 운문을 지을 적에 운(韻)을 찾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초사전이다. 주로 과거에 응시하는 선비들이 참고하기 쉽도록 만들어졌으며, 과거를 맡아보던 부서인 예부(禮部)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송대, 원대로부터 내려오던 책을 우리나라가 수입해 와서 사용...
韓氏아저씨블로그(2017-09-18 07:00:00)
조선 후기의 학자인 진계 박재형 선생이 고종 21년(1884)에 간행한 것으로, 128매가 있다. 구성을 보면 우리나라 선인들의 격언과 언행을 내외편으로 분류하여 내편은 입교로 가르치는 도리를 세운 내용 21장, 명륜으로 인륜을 밝힌 내용 43장, 교신으로 몸가짐을 삼가라는 내용 35장, 계고로서 옛일을 공부하여 고찰...
도귀들의 여행(2011-12-20 22:53:42)
것이다. 배자예부운략排字禮部韻略, 조선 1464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5호, 대전시립박물관 예부운략은 예부禮部에서 과거응시자들을 위해 편찬한 운서이다. 우리나라에서 널리 유통된 배자예부운략은 원나라 때 평수운(106운) 체계를 적용한 것이다. 권말에는 훈민정음서訓民正音序 등을 수록하여 우리말과 한자...
바람꽃과 솔나리(2018-05-09 20:31: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