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비 8. 최흥원 묘 및 신도비 9. 파평용연 10. 상서대 11. 이주·이광정 묘 및 신도비 12. 화평옹주·박명원 묘 및 신도비 13. 화완옹주 및 정치달 묘 14. 정태진 묘 15. 서곡리 고려벽화 묘 16. 성임 묘 및 신도비 17. 파주리 당간지주 18. 황정욱 묘 및 신도비 19. 성사영묘 20. 전주이씨 상원군 이세령가문 충신 열녀...
역사만들기(2025-02-25 17:44:00)
재사: 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묘소나 사당 옆에 짓는 집. 어은정 앞 이전중수비(우측) 어은정 (명호서원 현판이 걸려있다) ※ 명호서원 명호서원은...관광) ※ 명호서원 (明湖書院)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었던 조선후기 이원과 이주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1790년(정조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휴휴한인의 일상(2025-05-05 15:28:00)
발발로 인조를 보필해 강화로 피신했는데 여기서 전염된 수토병이 악화되어 1629년 죽었다.[1] 묘소 이 부분의 본문은 이주·이광정 묘 및 신도비입니다. 이주·이광정 묘 및 신도비(李澍·李光庭 墓 및 神道碑)는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뇌조리에 있다. 2001년 12월 21일 파주시의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다...
로고스필(2025-03-30 01:57:00)
비석과 신도비가 있음. 류방택 묘 천문학자 류방택의 묘는 서산시 인지면 또는 부근에 전해지며, ‘천상열차분야지도’ 제작 공적을 기념하는 안내판이 설치됨...기능 시조 류공기와 중시조 류숙을 기점으로 각 세대의 계통과 혼맥, 과거 급제자 및 관직 역임 사항을 기록. 서산·서녕·서령 등 동일 계통의 분적(分籍...
뿌리 성씨 이야기(2025-08-15 18:38:36)
남원으로 이주한 시대는 확실치 않으나, 고려시대에 남원 양씨는 南原의 土姓 가운데 으뜸으로 『世宗實錄地理志』 「高麗史地理志」에 보인다. 고려시대 五小京의 하나인 남원의 향리로서 梁能讓이 兵部郎中을 지내고 그 자손은 7대에 걸쳐 향리의 최고위인 戶長 직을 세습하였다. 양능양의 8대손 梁俊(양성지의 高祖...
길 위의 인문학(2025-08-02 11:43:00)
위치한 신도비, 은행나무 등을 포함한 서원 전역을 국가지정문화유산(사적)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하고 있다. ※도동서원 → 달성 도동서원(2011.07.28 고시) 수월루(水月樓), 후대에 건립되었다. 환주문(喚主門) '주인을 부르는' 환주문은 경건하고 겸손된 자세로 들어오라고 낮고 좁다. 연꽃봉오리 모양의 문지방석...
황보근영의 문촌수기(2025-04-28 15:20:01)
조선후기에 여성 중심공간으로 바뀐 것으로 안채는 사랑채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사랑채와 안채 사이에는 내행랑이나 중문간채 등에 의해 공간이 구분되게 하였다. 조선전기에는 안채 개념이 구분되지 않았다. 예전에는 정침이라하여 부부가 함께 사용하였다. 안주인의 손님이 아니면 안채까지의 출입이 제한되었으며...
현스바비큐아카데미(2024-04-22 09:41:00)
곳으로 이주하면서, 후손들이 이 마을에 대대로 살고 있다. 이 종택은 중앙에 'ㄱ'자로 안채를 배치하고 주변에 큰사랑채와 작은사랑채를 두었으며, 남쪽으로 곳간인 광채를 배치하였다. 북쪽에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고, 남쪽에 마굿간인 마방채를 두었다. 사람의 생활공간을 중심에 두고 주변에 제례를 준비하거나...
고독한 소피스트(2025-02-22 13:23:00)
조부모의 묘가 있나?라는 생각도 한 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래 4대가 넘는 조상의 신주는 사당에서 꺼내 묻어야 하지만 나라에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위는 왕...수 있는 자격을 일컫는 것으로 사당에 계속 두면서 기제사를 지낼 수 있다. 조선후기로 내려오면 문중 차원에서 시호도 받지 못하거나 학자로서도 크게...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5-02-20 16:51:00)
창업 및 왕자의 난 진압 공적으로 공신에 책록(策錄) 되었다. 1667년(숙종 8년)에 지어진 위정사(威靖祠, 충북 문화재자료 제12호)에서는 현재까지도 후손들이...자료 : 향토유적 - 하남시청 (hanam.go.kr) 안쪽 묘입구에 신도비가 있다.. 김정경신도비[ 金定卿神道碑 ] 감북동 산78 일원 1863년(철종 14)에 건립...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4-06-02 16:1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