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택 선생묘 지도 이미지

김양택 선생묘 3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김양택 선생묘
문화유적지정번호
안산시 향토문화재 제25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옛무덤
소재지지번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동 산40-22
지정일자
2014-04-19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묘역 540×240cm
묘갈비신 60.5×146.9cm
비대109.5×73cm
조성시대
조선시대
이미지정보
https://www.ansan.go.kr/site/www/images/contents/cts216_title.jpg
향토문화유적소개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서(士舒), 호는 건암(健庵). 김장생(金長生)의 5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숙종의 장인 김만기(金萬基)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김진규(金鎭圭)임.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이어 3대가 대제학을 역임, 당대에 이름을 떨쳤음. 저서로는 『건암집』이 있고 시호는 문간(文簡)임. 묘역에는 비갈, 상석, 문인석 1쌍, 망주석 1쌍 등이 있고 비갈은 1780년에 오석(烏石)으로 건립되었음. 비갈의 비문은 이조판서이자 대제학인 황경원(黃景源)이 지었고, 글씨는 손자인 김두공(金斗恭)이 썼음. 특히 비문의 앞면은 석봉 한호의 글씨를 집자하여 새겼음
관리기관전화번호
031-481-3438
관리기관명
경기도 안산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1-21
제공기관코드
3,93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안산시

블로그 리뷰

  • 김양택 선생묘 | [군포] 광성부원군 김만기 묘(金萬基墓)

    중후기의 문인·문신 겸 관료 출신이자 척신입니다. 병조판서 등을 거쳐 예조판서 등을 지낸 그는 인경왕후의 친정아버지로 숙종의 장인입니다. ​ 자는 영숙(永叔), 호는 서석(瑞石)·정관재(靜觀齋), 본관은 광산(光山)입니다. 구운몽을 지은 서포 만중은 그의 아우이며, 익훈은 그의 배다른 서얼 숙부입니다. ​ 김익희...

    여행은 행복이다(2024-02-19 23:57:00)

  • 김양택 선생묘 | 돈암서원,계백장군묘·충장사,수락산,고정산,신풍리마애불,영사암,휴정서원

    조선후기에 건립된 서원으로 김장생의 친족과 그의 학통을 받은 문인들만을 제향한 서원이다. ‘돈암서원’과 별도로 다시 그의 친족 문인들로 구성된 휴정서원...1),2)로 나누어 올렸다. 1) 돈암서원-수락산-충곡서원갈림길-계백장군묘-충장사-황산루-고정산-신풍리마애불-영사암-휴정서원(5km, 2h) 2) 휴정서원-탑정호...

    김복현의 산이야기(2024-03-07 20:32:00)

  • 김양택 선생묘 | 사료; 김원록,김대덕

    김대덕 묘 항목 ID GC03100520 한자 金大德 영어음역 Gim Daedeok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지석 [상세정보]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광산(光山). 시조는 신라의 왕족인 김흥광(金興光)이다. 고려 초기...

    트리플3쏠림(2023-07-02 18:20:00)

  • 김양택 선생묘 | 조선시대의 역장(3) 사계 김장생(金長生) 선생의 묘

    김진규․김양택 3대를 이어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하였으니 이것을 광산김씨 가문의 긍지와 자부심의 원천이다. 김만중 초상화와 글씨 장생(長生)은 예학(禮學...김장생의 묘 아래로 고조모 양천허씨 묘와 증조부의 묘를 비롯한 역장(逆葬)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장생 묘 부근의 역장의 내용 1) 양천 허씨 7...

    山 입체지형도 국립공원 입체지형도 주석-크리스탈(2019-01-04 21:58:00)

  • 김양택 선생묘 | 『조선시대 사대부(士大夫)들의 역장(逆葬) 사례』

    조선 후기에는 혈족 중심으로 단결이 강화되었고 혈족 외에는 배타성이 강해진다. 가문의 재산이 다른 성씨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위를 배척하게 되었고, 타성이 선산에 들어오는 것을 막았던 것이다. 풍수지리학에서 말하는 명당 ​ 이런 현상은 문중에도 적용이 되었으며, 조선시대(朝鮮時代) 성리학(性理...

    송풍수월 (松風水月)(2021-05-05 22:35:00)

  • 김양택 선생묘 | (군포)광성부원군 대제학 김만기(金萬基) 묘·신도비-광산김씨-

    손자 김양택(金陽澤)과 함께 3대가 연이어 문형(文衡)을 맡았다. 3대 대제학 가문은 전주이씨 백강 이경여(李敬輿) 家[이민서(李敏敍)-이관명(李觀命)-이휘지(李徽之)], 대구서씨 약봉 서성(徐渻) 家[서유신(徐有臣)-서영보(徐榮輔)-서기순(徐箕淳)], 연안이씨 월사 이정구(李廷龜) 家[이정구(李廷龜)-이명한(李明漢...

    개미실사랑방(2022-09-25 00:10:00)

  • 김양택 선생묘 | 김약택 묘와 선소리꾼의 예언

    삼천리에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에까지 올랐던 김양택(金陽澤) 선생의 묘가 있다. 김양택[1712~1777] 선생의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자는 사서(士舒...높이 추앙했는데, 광산김씨는 율곡 이이의 제자인 김장생의 후손들이 조선 후기 주요 관직을 차지하면서 명문 가문에 올랐다. 그러나 김양택의 집안은 높은...

    cky_family님의블로그(2017-08-29 13:11:00)

  • 김양택 선생묘 | 광산김씨 유래 본관 연혁 공파 항렬표

    高麗) 후기(後期)의 문신(文臣). 호(號)는 둔헌(鈍軒), 문정공(文正公) 태현(台鉉)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개성군 대부인 왕씨(開城君 大夫人 王氏)로 증호부상서(贈戶部尙書) 정조(丁朝)의 딸이다. 1305년(충렬왕 32)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1345년(충목왕 2) 서연(書筵)이 설치(設置) 되자 그 시독관(侍讀官)이...

    부안의 재발견(2022-08-09 22:21:00)

  • 김양택 선생묘 | 조선조에 광산김씨를 빛낸 훌륭한 인물

    효종묘에 배향되었다. 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 임피의 봉암서원(鳳巖書院),옥천의 창주서원(滄洲書院), 봉산의 문정서원(文井書院), 부여의 부산서원(浮山書院), 광주(光州)의 월봉서원(月峯書院) 등에 향사되었다. 저서로는 ≪신독재문집≫≪의례문해속 疑禮問解續≫ 등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5) 형제...

    중림곤충관(仲林昆蟲館)(2015-04-18 07:20:28)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