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지암리 석종형부도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0km
23
바로가기
지장사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강로 718, (지암리, (주)엠스코이엔지)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1.7km
34
바로가기
국사봉산성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2km
향토28
바로가기
미륵선골 석불입상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2km
21
바로가기
안동김씨 사충문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2.4km
43
바로가기
서한순 효자문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사석2길 13-16, (사석리)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3.3km
44
바로가기
이거이사패비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길 110, (상계리)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3.6km
10
바로가기
백련암지
'지암리 지장사지 맷돌'에서 4.1km
33
바로가기
라며 지장보살 할머니는 구름바위에 처녀를 태우고 흔들흔들 산등성이를 넘어 천룡사 부처님 세계로 안내했다. 이리하여 처녀는 열반에 들었고 길게 이어지는...있었음을 불교 사적지도로 알 수 있습니다. 포항 내연산에서 경주 양동마을 사이 포항 신광면 비학산 자락의 "포항 법광사지"는 신라 진평왕 때 왕명으로...
꺼비♡꺼비(2024-03-25 19:54:28)
진천 지암리사지’로 보고되어 있고, 이후 자료에는 ‘지장사지’로 보고되어 있다. 기존 조사에서는 지장보살을 모셨던 사찰이어서 ‘지장사’라고 하였고...경작을 금지하였다고 하며, 건물지와 관련된 유구는 남아 있지 않으며, 맷돌 1기와 승탑 1기가 있다고 한다.옛날에는 이곳을 중심으로 6개소의 암자가 있었으며...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19-04-11 07:03:18)
진천 지암리에 있는 지장사터 입니다.숱한 세월 이야기와 함께 세월은 흐르고 짝잃은 부도와 맷돌만이 지난 세월을 반추하고 있습니다. 지장사지地藏寺址는 진천읍 지암리 산40-8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주변을 살펴보면 그 터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 지장골 절안마을 서쪽의 잠덕산 중턱에 자리하고...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19-04-10 14:00:43)
읍내리 사지(寺址)'라고도 함>에 있던 것 으로 1946년 수봉초교 교장인 이철세가 학교 교내로 옮긴 것을 1995년 현재 자리에 안착시켰 다. 탑이 있던 교동 절터는 고려 중기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때 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탑의 구조를 보면 땅에 네모난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1층 기단과 5층 탑신을 차례대로 올렸...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2022-08-16 13:24:56)
염불사지 삼층석탑을 두루 돌아볼 예정이다 오늘 일곱번째 일정으로 고요하고 아늑한 연못 서출지를 보고 서출지에 마주 닿아 있는 경주시 남산동 978번지 무량사를 보러 간다... 서출지 근처 마을 어귀에 무량사 가는 푯말이 친절하게 서 있다 낮은 담장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참으로 고적해서 발길을 멈췄다. 경주 남산...
태평양을 향하여(2015-07-21 16:07:00)
신라후기에 창건된 사찰인 심원사의 사지(寺址)에 남아 있던 여러 종류의 불교유물들로서, 석조불상대좌(石造佛像臺座), 배례석(拜禮石), 불상광배(佛像光背), 석조비로자나불좌상(石造毘盧遮那佛坐像), 신방석(信枋石), 석탑기단갑석(石塔基壇甲石) 등이다. 석조유물은 대부분 화강암으로 되어 있고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잃어버린 추억 나들이(2015-12-06 23:13:54)
시대 후기까지는 법맥을 잇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 터에는 건물자리 5개와 석조· 괘불지주·맷돌·세탁대 등이 남아 옛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석조는 전체가 4각을 이루고 밑바닥과 각 면은 평평하게 다듬어졌다 . 바닥아래와 윗부분에는 고인 물을 다른 곳으로 빼기 위한 구멍이 있는데, 특히 윗부분의 구멍...
산이 조치요(2018-01-23 19:43:11)
옆에는 맷돌이 있다. 대웅전 마당에서 본 육화당 대웅보전 大雄寶殿 백련사 대웅전은 1986년 2월 7일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136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단청도 잘 되어 있다. 내부에는 목조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는데,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삼존불은 중앙 본존불의 좌우에 안치되어 있는데...
가슴 한쪽 비워둔다면(2014-03-23 20:18:55)
개설과 사지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 발굴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경기도박물관에서 조사. 발굴하고 있으며, 앞으로 사적지내 사유지를 매입하고 원형 그대로 발굴...보물 제388호), 회암사지 쌍사자석등 (보물 제389호), 회암사지 맷돌 (경기도 민속자료 제1호), 지공선사 부도와 석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9호), 나옹...
현림의 소리(2018-08-15 09:36:10)
제지에도 맷돌을 사용하였고 이는 우리나라의 제지법이 중국의 종이 기술과 동일하다는 것을 추측하게 해준다. 위의 사실을 종합해보면 2세기에서 늦어도 4세기까지는 우리나라에 종이와 그 제조술이 전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대세이고 아무리 늦어도 7세기 이전에 이미 상당한 기술의 축적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위례백제연구원 - 慰禮百濟硏究院(2009-03-28 17:59:35)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