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임식덕천리산개나리군락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0.2km
천연기념물388호
바로가기
운서정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관진로 61-20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0.2km
유형문화재135호
바로가기
이윤성 모자 정려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3길 56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0.6km
향토문화유산유형제6호
바로가기
임실성미산성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1.5km
기념물100호
바로가기
임실상가윷판형암각화유적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4.3km
기념물133호
바로가기
전동흘 장군 신도비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성수면 내곡길 69-4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4.4km
제24호
바로가기
임실현읍총병풍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5.4km
향토문화유산유형제1호
바로가기
임실 가덕리 하가구석기유적
'임실덕천리가침박달군락'에서 5.9km
기념물 159호
바로가기
석탑이 있는 풍경(2024-11-28 12:32:54)
분포학 수량/면적 : 군락 지정(등록)일 : 1997.12.30 소 재 지 :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37번지 소유자(소유단체) : 임실군 관리자(관리단체) : 임실군 개별안내판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 군락 任實 德川里 가침박달 群落 천연기념물 가침박달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주로 중국의 베이징과 랴오닝...
천연기념물(2024-06-19 11:38:00)
남방한계선으로서 식물분포 지리학상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어 1997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021년 4월 21일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 군락을 찾았다. 이전 3~4차례 답사했지만, 처음으로 가침박달꽃을 보았다. 2차례 답사할 때까지도 가침박달이 맞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꽃을 보고...
바롱이와 떠나요!(2025-05-01 07:45:04)
:)(2025-01-26 18:08:00)
우리나라에는 주로 충청도 이북, 평안도, 함경도 지방에 자생하는데 중국, 일본에서도 자라는 나무라고 합니다. 우리 전북에서는 임실 덕천리에서 가침박달군락이 발견되었는데 가침박달이 자랄 수 있는 남방한계선이라 하여 1997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답니다. 가침박달이란 이름이 붙게 된 이유는 열매의 모양이...
정읍리틀포레스트, 치유와 힐링을 꿈꾸는 공간(2025-04-22 14:00:00)
석회암 및 퇴적암 지역의 풀밭, 화강암 바위지대에서 드물게 자란다. 학명은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가침박달군락은 가침박달이 자랄 수 있는 남방한계선이라 하여 1997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잎은 긴타원모양으로 어긋나게...
Gallery Saimi(2025-04-22 07:34:22)
가침박달이란 이름은 씨방의 특징인 감치기와 박달나무처럼 조직이 치밀하여 단단하다는 의미가 합쳐져서 된 것으로 보인다. *천연기념물 제387호 ㅡ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 37에 소재한다. ㅡ 가침박달 군락은 가침박달이 서식할 수 있는 남방한계선이라 하여 1997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오감으로 느끼는 계절(2025-04-22 10:33:00)
제387호로 지정된 덕천리 가침박달군락이 숲을 이루고 있다 임실 덕천리 오원천변위 절벽위에 자생하는 가침박달군락은 가침박달나무의 남쪽한계선에 자생하는...전북 임실군 관촌면 관진로 61-20 “상기 포스팅은 임실군에서 문화 관광 여행지를 홍보하기 위하여 초청한 팸투어에 참가한후 후기로 작성한 글 입니다...
강경원의 여행만들기(2016-05-26 00:11:11)
◉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任實 德川里 가침박달群落)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任實 德川里 가침박달群落)은 천연기념물 제387호로 전북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산 37번지에 위치하며, 지정면적은 7,074㎡이다. 가침박달나무의 ‘가침’은 실로 꿰맨다는 뜻의 ‘감치다’에서 유래하였으며, 실제로 가침박달나무의...
한국의 숨결(2024-09-10 09:45:00)
자리를 잡은 울창한 나무들로 시야가 조금 가리긴 하지만 단풍으로 곱게 물든 사선대 전경이 내려다보입니다. 운서정 바로 옆엔 천연기념물인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 군락이 있다는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박달나무 군락은 눈에 띄지 않습니다. 운서정의 가정문 앞을 지나 왔던 길을 돌아가 다시 사선대로...
산은 지리산(부제: 사진으로 세상보기)(2024-11-06 06:5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