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지도 이미지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4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문화유적지정번호
국보 제151-2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고서
소재지도로명주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경기장로 28
소재지지번주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1400
지정일자
1973-12-31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문화재청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 태조 때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 순에 의하여 편년체로 편찬한 기록이다. 1997년 10월 훈민정음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1-550-8021
관리기관명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데이터기준일자
2024-01-12
제공기관코드
3,370,000
제공기관명
부산광역시 연제구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6536.08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우장춘기념관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62번길 7(온천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03km

바로가기

박차정의사생가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98번길 129-10(칠산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55km

바로가기

금강공원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55 (온천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78km

바로가기

장영실과학동산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역사관길 18(복천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86km

바로가기

복천박물관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복천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95km

바로가기

충렬사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345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97km

바로가기

해양자연사박물관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75 (온천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4km

바로가기

허심청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장로107번길 32 (온천동)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4.28km

바로가기

서동미로시장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로141번길 16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5.24km

바로가기

부산대젊음의거리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온천천로 51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5.37km

바로가기

만화체험관

부산광역시 동구 성북로 42-1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5.91km

바로가기

황령산관광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황령산로 156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5.97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브라운도트 사직야구장점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91-44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0.88km

바로가기

부산시티호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356-12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2.24km

바로가기

시애틀비호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255-4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2.35km

바로가기

브라운도트호텔 만덕점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73-17 브라운도트호텔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2.41km

바로가기

아르반시티 호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603-10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2.72km

바로가기

피코 관광호스텔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51-9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2.72km

바로가기

이비스 앰배서더 부산 씨티 센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573-7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31km

바로가기

티티호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401-12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36km

바로가기

토요코인 부산서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666-8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77km

바로가기

(주)부산롯데호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503-15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8km

바로가기

부산비즈니스호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512-4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86km

바로가기

전포207stay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207-10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에서 3.88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불타고 뺏기고 하마터면 사라질 뻔! '조선왕조실록' 수난사

    조선후기 지방의 4곳 사고는 정족산, 적상산, 태백산, 오대산으로 확정되었고 이 체제는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이어졌다. 사고 주변에는 수호사찰을 배치하여...해방 이후 정족산과 태백산에 보관된 실록은 서울대학교 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적상산본 실록은 6·25전쟁의 혼란기 속에서 북한에 의해 반출되었다...

    여행 & 일상 & 정보(2025-06-26 02:53:58)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 기록 탐방 프로그램 참여 후기_넷띠 18기

    한 편으로는 너무 좋았던 것 같습니다. ​ 그리고 백패커 방영 이후 제 견학 후기의 조회수가.. 어마무시하게 늘었더라구요..ㅎㅎ ​ 이번에 특별히 기록탐방에서...있습니다. ​ 기록의 전당은 오동나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을 보관할 때 오동나무 함에 보관했는데, 이른 본 뜬 것입니다. 기록은...

    (2024-12-06 22:46:00)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조선후기부터 종이의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세초는 대부분 소각처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완성된 실록은 특별히 건축 관리되는 사고(史庫)에 비장하였다...사실대로 기록한 것이므로, 그 편찬과 관리가 이처럼 엄격하였다. ​ 조선시대의 실록은 1413년(태종 13)에 《태조실록》을 편찬한 것이 처음이며, 이어...

    Joey'z Travel(2025-02-12 21:08:00)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웹북] 조선왕조실록

    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27책, 기타 산엽본 21책 총 2,077책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 지정되었다. 『조선왕조실록』 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지켜내기 위하여 매우 엄격한 규율에 따라 작성되었다. 왕의 실록은 반드시 해당 왕의 사후에 작성되었으며, 임금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록을 열람할 수 없었다...

    동방박사의 여행견문록 (Blog)(2025-01-24 07:32:06)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조선왕조실록, 국보 제151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5대 472년, 후손 왕이 보지 못한다는 원칙 지킨...

    있다. 이는 광해가 폐위되었고 그의 세력이 재기할 가능성이 아예 사라졌기 때문에 굳이 중초본을 없애야 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인 듯하다. 조선 왕조 내내 사초와 실록을 열람할 수 없도록 하는 금기가 대체로 지켜져왔고, 왕이라고 할지라도 이를 깨고 열람을 시도할 때마다 대신들의 격렬한 항의에 의해 뜻을 거두는...

    집단지성/잡스9급/기출해설/두문암기(2025-04-19 11:43:50)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조선왕조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恭靖王實錄/太宗恭定大王實錄/世宗莊憲大王實錄/文宗恭順大王實錄/魯山...

    123 태백산본 실록 전체는 총 1,707권, 848책 ※‘…’는 생략 표시임. 《영종대왕실록》의 정식 명칭은 《영종지행순덕영모의열장의홍륜광인돈희체천건극성...乾健坤寧翼文宣武熙敬顯孝大王實錄》이다. ​ 실록의 체제와 기술 내용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조실록》이래 대체로 준행되어 온 일정한 편찬의 체제와 격식...

    흙숲지기(2025-03-30 16:17:00)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조선왕조실록

    규장각에, '태백산본'은 부산의 국가기록원에서 보관하고 있다. 일본이 가져간 '오대산본'은 1923년 일본 관동 대지진으로 대부분이 불에 타서 74책 외에는...국내에 돌아와 규장각에 보관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선왕조실록이 전해지는데는 목숨을 걸고 실록을 지킨 사람들의 헌신이 있었다. 전주 지방 유생이었던 물재...

    jejus898님의블로그(2025-02-20 06:01:00)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 있던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지를 나홀로 산행하다.

    의정부일기(議政府日記)》를 자료로 삼음. 태백산본(太白山本) 1,181책, 정족산본(鼎足山本) 848책, 오대산본(五臺山本) 27책, 잔여분 21책, 모두 2,077책이...오대산사고(平昌 五臺山史庫)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 있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왕실의 족보인 《선원보략》(璿遠譜略)』을 보관...

    산으로 그리고 또 산으로(2024-01-18 14:17:00)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조선왕조실록

    조선 후기​ 그 후 춘추관에 보관했던 실록은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또 다시 소실되어 완전히 없어지고, 묘향산 실록은 1633년(인조 11)에 만주에서...설치했던 사고).·오대산 사고(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의 실록)만 남게 되었으며, 이후로 역대의 실록을 편찬할 때마다 출판하여 4사고에 추가 보존케...

    햇빛처럼 따스하게 시냇물처럼 소통하고 싶다.(2024-06-27 22:44:00)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 [사회교육](역사탐방) 조선시대 체험학습 장소

    조선 후기에는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창덕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한국을 대표하는 궁궐이 되었다. ​ ▪️ 창경궁 세종이 왕위에 오른 후 태종을 위해 창덕궁 동쪽에 수강궁을 지었고, 성종 때 세 명의 대비를 위해 수강궁을 확장하면서 창경궁이라 이름 짓는다. 이후 창덕궁이 정치의 공간이었다면...

    생각을 생각하다(2025-02-10 12:1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