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당 지도 이미지

이우당 5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이우당
문화유적지정번호
비지정문화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사당
소재지지번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80
지정일자
1900-01-01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하빈이씨
조성시대
1910년
향토문화유적소개
두문동 72현 한분인 이경(1337∼1392)선생의 음덕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사당임, 현재 연경택지개발로 서변동으로 이건 중에 있음
관리기관전화번호
053-665-4322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북구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1-26
제공기관코드
3,450,000
제공기관명
대구광역시 북구

블로그 리뷰

  • 이우당 | 영암군 덕진면 이우당(송양사), 영보정, 존양루, 삼성당 고택

    덕진면 송내외, 영보리 ​ 탐방 인원 : 2인 ​ ​ ​ ​ 영암 이우당(靈巖 二友堂), 송양사(松楊祠) ​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노송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사. ​ [개설] 영암이우당(靈巖二友堂)은 거창 신씨(居昌愼氏) 문중의 화합과 학문 연마를 위해 지어진 정사(精舍)이다. ‘이우당’이란 당호는 충절의 상징인 대나무...

    그대는 나의 봄날이고 크리스마스입니다(2025-05-30 17:21:00)

  • 이우당 | 명창의 아버지, 시대의 고뇌를 기록하다: <이우당유고집(二憂堂遺稿集)> 심층 분석 - 19세기 판소리...

    <이우당유고집(二憂堂遺稿集)>은 조선 후기 명창 권삼득(權三得)의 아버지인 권내언(權來彦)의 문집으로, 단순한 개인의 기록을 넘어 19세기 판소리사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 문집은 당대 양반 지식인의 고뇌와 함께, 사회적으로 천대받던 광대 집안의 애환을 엿볼 수 있게 합니다. 특히 명창...

    한국 판소리(Pansori)(2025-05-02 17:55:34)

  • 이우당 | 이우당 조태채(二憂堂 趙泰采) 한시 2수 : 춘경(春耕), 망신루(望宸樓)

    借問主人何處去(차문주인하처거) 묻노니 이 누각 주인은 어디를 갔는고 無心惟有泛江鷗(무심유유범강구) 오직 갈매기만 무심히 강물에 떠 있을 뿐... 이우당 조태채(二憂堂 趙泰采. 1660~1722)는 조선 후기 한성부판윤, 판의금부사,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유량(幼亮), 호는 이우당(二憂...

    고전과 전원(2025-04-18 11:25:39)

  • 이우당 | 영암군 - 영암 이우당, 영암 영보정

    조선 후기 전라남도지방의 전형적인 부농 가옥으로 민속적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국가민속문화재 영암 삼성당 고택 (靈岩 三省堂 古宅)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검색...

    강토의 사진(문화유산)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03-21 22:00:00)

  • 이우당 | 上閔丈別紙를 통해 본 二憂堂

    再嫁)한 부인이나 행실이 좋지 못한 부인의 아들과 손자도 마찬가지였다. 이우당'이 지적한 것처럼 서얼금고의 폐단이 사회 불안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 제반...허통법(納粟許通法)'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는데 이와 관련한 '한국사34(조선후기의사회)' P.53의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선조 때 이이(李珥)의 주장에...

    晛溪 斗井軒 SUGISA(2025-07-19 10:52:36)

  • 이우당 | 명창이야기(남성편)

    명창, 후기 8명창, 근대 5명창이 두루 망라되어있다. 여기 소개된 명창 중 큰 산인 임방울과 그의 라이벌이었던 김연수는 다른 책으로 만나기로 하고 여기서는 생략했다. 한 사람도 빠뜨리고 싶지 않아 이번 편에는 남성 명창을, 다음 편에는 소리꾼은 아니지만 판소리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신재효와 여성 명창들...

    vagahong님의 블로그(2025-09-04 13:22:00)

  • 이우당 | 울산 신흥사

    희소성과 역사적 보존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6호로 지정되었다. ​ 삼성각 삼성각에 가면 부처님이 자비롭게 웃고 계심. 이우당 대사 부도탑 강희 40년(1701년)에 조성된 '이우당 대사' 부도이다. 현재는 몸돌만이 남아 있으며 큰 연화문과 넓은 홈이 특색으로 조선 후기의 부도탑 연구에 있어...

    삶의 소소한 행복을 찾아(2025-07-30 21:18:00)

  • 이우당 | 떠나고 싶을 때, 휴식하고 싶을 때 가야 할 울산 북구 사찰 신흥사

    번역하기도 합니다 ​ 삼성각 대웅전 오른쪽으론 삼성각으로 갈 수 있는 가파른 계단이 있어요 산신, 칠성, 독성을 모셔둔 삼성각 삼성각 계단을 오르다 보면 이우당 대사 부도탑이 보입니다 ​ 강희 40년, 즉 서기 1701년에 조성된 부도로서 2000년 10월경 도난되었다가 2018년 11월에 되찾았다 조선 후기 승탑 양식을 규명...

    찌니의 오늘(2025-05-07 01:05:00)

  • 이우당 | [충북대 중문 밥집] 이우당에서 쉬림프덮밥 먹은 후기

    덮밥 ㅋㅋ 그치만 옆 테이블에 전에 좋아했던 오빠 닮은 사람있어서 당황 ㅜ ㅜ 근데 아닌 거 같음 그냥 닮은 사람인듯해여 ​ 새로 생긴 여자친구와 안닮았었음 같이 온 여자사람이... 오늘도 저의 tmi 블로그를 봐주셔서 감사해용;; 이우당은 충대생이라면 한번쯤 가보자~! 이우당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창동 470

    달팽이의 블로그(2020-10-11 22:08:00)

  • 이우당 | 한양의 고관대작은 어디가고 안동양반만 남았네

    즉 중앙 조정에 들어 가 관리가 되는 것이 사족의 목표이고 안동양반은 조선 후기 조정의 관리가 되는 길이 막혀버렸으니 조상을 위하여 집짓는 것으로 일생을...종가의 고을이다. 양진당 충효당 천전대종가 귀봉종택 삼산종택 율리종택 이우당종택 운암종택 상리종택 제산종택 간재종택 정재고택 학봉종택 임청각 남천...

    영남좌도 역사산책(2025-07-12 07:42: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