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현사 지도 이미지

의현사 2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의현사
문화유적지정번호
비지정문화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재실
소재지도로명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로 234-32
소재지지번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1325
지정일자
1900-01-01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인천채씨
조성시대
198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고려 공양왕 호조전서이며, 두문동 72현의 한분인 다의당 채귀하를 모신 재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3-665-4322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북구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1-26
제공기관코드
3,450,000
제공기관명
대구광역시 북구

블로그 리뷰

  • 의현사 | 인천 다의당 채귀하: 충절과 의리의 상징

    채수는 한문소설 **‘설공찬전’**을 집필한 인물로, 그의 업적은 조선 후기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문화유산 다의당은 채귀하를 기리기 위해 여러 행사와...1982년, 인천 채씨 문중은 대구 북구 검단동의 검단토성 안에 의현사를 마련하여 채귀하를 기리며, 그의 충절과 의리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채귀하의 시...

    (사)한국스마트유통물류연구원(2024-10-28 01:01:50)

  • 의현사 | 문경 웅연서원 유허비

    고려 후기에 호조전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청일(淸一), 호는 다의당(多義堂)이다. 달성 출신으로 아버지는 형부상서(刑部尙書) 채원길(蔡元吉)이며, 어머니는 개성고씨(開城高氏)로 상장군 고천서(高天瑞)의 딸이다. 효성이 출천(出天)하였으며, 문학에 심취하여 영양(永陽)의 정몽주(鄭夢周...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4-08-06 12:13:00)

  • 의현사 | ‘杜門不出’_두문동 72賢을 찾아서

    조선 후기에 예학이 강조되고 보학(譜學)이 강화되면서, 두문동 72현을 조상으로 둔 후손들이 선조를 기리는 작업도 많이 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그들의 이름이 이 땅의 한 지리적인 공간과 동행하고 있다. 연재를 시작하는 마당이니 개성까지는 가지 못하더라도 임진강 가에 있는 숭의전(경기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

    三流人生(2009-10-05 08:46:35)

  • 의현사 | 경북 문경 사불산

    조선 후기까지 불교의 한 성지처럼 부각되었다. 현종 9년(1668) 성일(性日)이 중건했고, 1900년 취원(就園)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법당과 요사채가 있다. 부근에는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유적이 여러 곳에 있다. 나옹화상은 이곳에서 득도했으며 사미[沙彌,불문에 처음 들어가 사미십계...

    어리버리 살아내기...(2010-07-14 22:46:08)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