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의성학하고택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마을길 59
'자암종택'에서 0.1km
36
바로가기
경정종택사당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길 5
'자암종택'에서 0.4km
7
바로가기
의성 이희준 시혜기념비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금성현서로 433
'자암종택'에서 2.2km
52
바로가기
의성명곡서원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명곡서원길 12
'자암종택'에서 3.4km
37
바로가기
경윤정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배나무길 157
'자암종택'에서 3.9km
12
바로가기
의성 순호리 도해와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순호마을길 61-4
'자암종택'에서 4.4km
27
바로가기
오계서당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조문로 677-5
'자암종택'에서 5.8km
5
바로가기
중리교회(제1예배당 및 종탑, 구빙계교회)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성현서로 1055-1
'자암종택'에서 6.4km
35
바로가기
구성, 서까래의 가공 수법, 사랑채의 평면 구성 및 사랑 대청의 구성이 조선 후기 살림집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답니다. 이곳은 의성 점우당인데요, 이장섭...트인 ‘ㅁ’ 자형 고택입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곳은 자암 이민환 선생의 종택인 자암종택입니다. 마을 앞 솔밭에 있던 안채를 입향조 이광준 선생이 현재...
새로운 도전과 기회의 땅. 활력 넘치는 희망의성(2024-12-12 19:15:00)
의 종택으로 계류년 (1933년)에 건립되였다 하고, 구조는 안채, 좌익사, 사랑채, 재문채로 연결된 ㄷ자형을 이루고, 경내 별채에는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다. 이 곳은 지금 전통한옥에서의 숙박 체험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농촌마을의 전통 체험인 다도예절 체험과 감자캐기 체험을 통해 고택에서의...
세종해피뉴스(2024-01-11 21:07:57)
시각을 결부시켜 자료로 남긴 것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조선후기 실학파의 학문으로 계승된다. 자암은 국가에 대한 충성과 조정의 신뢰가 국난 극복의 힘이...종손 이승진(75) 씨는 종부, 차종손과 서울에서 생활하고 있다. 현재 종택 관리는 이시유(75) 씨가 맡고 있다. 종손과는 동갑이지만 촌수로는 숙질간으로 높다...
바다사랑님의 블로그(2024-03-13 16:10:00)
01. 산운마을 의성 소우당 고택 / 의성 운곡당 / 의성 점우당/ 자암종택 / 의성 학하고택 주소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사길 17 경상북도 의성에서 대감...집성촌인 의성 소우당 고택은 산운마을의 가운데 위치를 하고 있으며 조선 후기 의성 지방의 양반집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고택의 구조는 살림채와 별당...
아름다운 둘레길 여행(ksb115205님의 블로그)(2023-09-19 08:34:00)
이민환의 종택으로 건립연대는 미상입니다. 이민환(1573∼1649)은 자가 이장(而壯)이고 호는 자암(紫巖) 시호는 충간으로, 학동 이광정의 셋째로 산운에서 태어났습니다. 16세에 한성감시 초시에 급제하고 학봉 김성일의 문하가 되었으며 이후 서애 류성룡과 여헌 장현광과 학연을 맺었습니다. 20대에 임진왜란을 겪었고...
여행은 행복이다(2018-01-10 15:38:00)
받은 자암 김구(自菴 金絿1488∼1534) 선생의 유묵(遺墨)이었다. 큰 작품에 유려한 초서 작품이 인상적이었다. 미수 허목(眉수 許穆1595∼1682) 선생의 독특한 미수체의 전서로 쓴 청암수석(靑巖水石)이란 글씨였다. 청암정(靑巖亭) 정자 속에 판각하여 게시되어 있었습니다. 충재선생의 교지 고택 왼편에 위치한 沖齋...
송풍수월 (松風水月)(2012-05-14 18:53:00)
구성되어 있다. 점우당. 마을앞쪽 우측 골목이다. 자암종택이란 안내표지판이 있다. 자암 이만환의 종택으로 건립연대는 미상이다. 안채는 당초 마을 앞 솔밭에...학동 이광준이 현 위치로 이건한 것이라 전한다. 의성 운곡당 운곡당은 조선 후기 의성 지방 양반의 집으로 안채, 사랑채, 고방채로 되어 있다. 상량문에...
지리산동남쪽(2021-05-07 23:24:00)
남긴 후기를 읽어보면 문이 잠겨있어 고택을 살펴보지 못하여 아쉬웠다는 사례를 많이 봤다. 문화해설 신청으로 해설과 함께 내부까지 살펴볼 기회를 얻을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학록정사를 비롯한 많은 고택과 초가 그리고 골목과 담장을 구경하게 된다.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義城新聞(2022-06-24 10:07:36)
조선후기 정자건축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충분하고 보존상태 양호하여 경남문화재자료 제380호. 영귀대와 영귀정. 詠歸(영귀)는 공자가 제자들의 포부를 물었는데 증점(증자의 부)만이 ‘늦은 봄옷을 갈아입고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 쐬고 노래하며 돌아오고 싶다’는 대답에 공자도 ‘나도 증점과 같다’고...
시사랑꽃사랑(2022-05-03 22:31:30)
나온다. 자암 이민환(1573~1649)의 종택으로 건립 연대는 미상이라고 한다. 안채는 당초 마을 앞 솔밭에 있던 것을 입향조인 학동 이광준(1531~1609)이 현 위치로 이건한 것이라 전한다. 대문이 잠겨 있지만 담장이 높지 않아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운곡 이희발 선생 신도비 형조판서의 벼슬에 이른 산운의 인물...
shinsun74님의 블로그(2019-02-02 08:1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