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임실성당 사제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중동로 10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0.3km
도 등록문화재
바로가기
임실향교대성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봉황7길 23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0.7km
문화재자료26호
바로가기
죽림암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호반로 79-53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0.8km
문화재자료25호
바로가기
임실이도리미륵불상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봉황10길 109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1.2km
유형문화재145호
바로가기
김복규,김기종효자정려비및정판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임삼로 1590-20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2.2km
유형문화재144호
바로가기
김복규김기종효자정려비및정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임삼로 1590-20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2.2km
유형문화재144호
바로가기
신안서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신안1길 8-19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3.5km
문화재자료22호
바로가기
임실 월평리 산성
'천도교 임실교당'에서 4.5km
기념물 156호
바로가기
참여한 천도교 중진 ▲ 박준승 박준승은 24세 되던 1890년 4월 스승 김영원을 통하여 동학에 입교하였다. 당시 임실에는 이미 천도교가 포교돼 있었는데 그는 임실 천도교 교당에 가서 입교했다. 조선후기 조정의 부패상을 지켜보면서 동학의 '광제창생 보국안민(廣濟蒼生 輔國安民)' 이념에 공감한 것으로 보인다. 그...
옛책의 香氣 [書卷氣 文字香](2024-08-21 09:16:00)
임실교당은 운암면 제1교구와 청웅면 제2교구를 통합, 임실교구가 설립됐으며 1916년 현 위치로 자리했다. 이후 이곳은 임실지역 3·1혁명의 구심점으로 자리...해 설계를 마치고 올해(2022년) 국도비 14억을 들여 수리복원을 통해 천도교 초기 건축물로 선보일 예정이다. 10. 임실현 관아 터 전북 임실군 임실읍...
푸른비의 세상 이야기(2022-06-14 13:36:00)
제작 후기입니다. 먼저 임실의 문화가 있는날에서 제작한 리플렛인데요. 메인은 우리마을 보물찾기라는 리플렛입니다. 각 마을에 위치한 보물들을 찾가내기 위한 리플렛인데요. 어떤 리플렛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3단리플렛은 3단으로 나누어져 있는 리플렛으로 접이선을 넘어서 디자인하는 경우도 있구요. 접이선...
GORYEO DESIGN(2023-01-20 11:10:00)
조선 후기 때 대선사로 알려진 이양박(李輛舶)은 임실 즉 안골을 우복동(牛復洞)이라 칭하고, 그의 ‘우복가’ 유서에, 「天地合德三皇舍, 天鼓任失五行舟, 善錄君子道通庭, 無量靈廻萬仙京, 地德雨復四時源, 五合化運得好時(하늘과 땅에 덕을 모은 천황, 지황, 인황의 집이여, 하늘 북 울리는 임실은 오행의 배로다. 선...
재너메님의블로그(2022-12-26 23:29:00)
조선후기 읍 지인 ‘운수지’도 여기에서 비롯한다. 지금의 임실군은 조 선시대 임실현과 남원부 북부 일부지역이 합쳐 이루어진 곳이다. 당시 임실현은 현재 임실, 성수, 관촌, 신덕, 신 평, 운암, 강진, 덕치, 청웅, 오수면에 걸쳐 있었다. 「1872 년 임실현지도」에 보면 임실현 읍치 부분은 현 임실읍 성 가리 일원...
전북문화살롱(2021-10-28 10:53:00)
임실교당 임실의 짧은 동학천도교 이야기 2차 동학농민혁명 서훈촉구 국민연대_독립서훈운동 동학이여, 동학이여 금강은 흐른다. 신동엽 문화관을 가다 시인 신동엽의 시에서 동학과 실천적 서정성을 깨닫다 지일기념일 地日紀念日 은 어떤 날인가요? 김동우의 보국안민 발자취를 찾아서 동학 창도의 모태가 된 곳...
네트워크 동학집강소(2021-08-26 12:19:00)
조선 후기 이곳은 육지와 제주를 잇는 중요한 항구였다. 완도읍에서 17.8km 떨어져 있는 소안도에 가면 비석이 두 개가 세워져 있는데 제주도 현감 두 명의 불망비이다. 면 소재지라고 할 수 있는 입구에 비가 있기 때문에 소안도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볼 수 있는 비석이다. 이 비석들은 소안도를 육지인 강진...
들사람의 생각과 움직임들(2016-02-08 06:5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