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임진왜란 때 진주성 싸움에서 순절한 이의정 장군의 유적지이다. 이의정(1555∼1593) 장군은 고려 후기 문인 이규보의 8대손으로 조선 선조 16년(1583)에 무과...살던 뒷산 남향 기슭에 있으며, 장군은 진주 충열사에 위패를 모셨다. 정문은 이의정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며, 신도비는 정조 20...
달(2025-03-22 05:30:00)
답사 후기 양산팔경 금강둘레길이 있는 충북 영동군은 양산면 금강변의 양산팔경, 황간면 원촌리 월류봉 일대의 한천팔경 등 관내에 팔경이 두 군데나 있을 만큼 풍광 좋은 고을이다. 전북 장수군 장수읍 신무산(神舞山, 896.8m) 8부 능선에 자리한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17개 시군을 거쳐 서해까지 397.25km, 약 천리의...
인기 여행 중(2025-03-09 00:10:00)
전해지며 2기의 망주와 상석, 묘갈비를 갖추고 있다. 이의정 정문 이의정 유적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이의정 정문과 채하정이 있다. 이의정 정문은 영동군 향토유적 제51호로 이의정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이의정은 본관이 여주 하음으로 고려 후기 이규보의 팔대손이고 이조판서 장의 손이며 율곡...
나댕기는 쭌(2023-11-08 16:38:00)
내려다 보며 현대에 지은 정자양식 같았다. 채하정옆길로 이의정유적지앞 향토유적 제51호인 이의정 정문이 있었다.이의정 정문은 이의정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였다.이의정은 본관이 여주 하음으로 고려후기 이규보의 팔대손이고 이조판서 장의 손이며 율곡 이이 문하에서 수업을 받았다.무과에 급제하여 보령...
백재은(2024-07-01 12:35:50)
소나무숲이 눈에 가득찬다. 임진왜란 때 진주성 싸움에서 전사한 무사 이의정의 정문이다. 이공이 전사하자 그의 애마가 장삼을 물고 달려와 마총(馬塚)에서...夫 守保嶺縣監 李義精之門)〉적혀있다. 이의정(李義精:1555∼1593)은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의 8대손이며, 예조판서 장(墻)의 손이다. 율곡 이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14-03-19 22:22:56)
순조 원년(1801)에 세웠다. 정려각은 경종 2년(1722)에 내려졌다. 이의정 유적에서 정문은 약 1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문은 이의정 장군의...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이의정은 본관(本貫)이 여주 하음(河陰)으로 고려후기 이규보의 팔대손이고 , 이조판서 장(墻)의 손이며, 율곡 이이 문하에서...
궁금하면 가보자(2021-05-06 17:59:32)
이의정 정문 - 분류 역사유적 - 소재지역 영동군 - 주소 충북 영동군 양산면 봉곡2길 35 - 대표전화 043-740-3204 - 모바일 전화 0437403204 - 홈페이지 주소...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이의정은 본관(本貫)이 여주 하음(河陰)으로 고려후기 이규보의 팔대손이고 , 이조판서 장(墻)의 손이며, 율곡 이이 문하에서...
충청북도 관광명소정보(2023-05-09 02:02:34)
28일 지정) ≪답사일≫2015년 6월 16일(화) 이의정(李義精:1555~1593)은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李奎報)의 8대손이며, 예조판서 장(墻)의 손이다. 율곡 이이...봉안되었다. 정려각은 1722년(경종 2)에 내려졌다. 정문(旌門)은 이의정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정문은 〈충신증통정대부병조참의 행조산대부...
행복한 사람(2015-10-14 16:15:00)
조선후기 허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을 탐방한 내용을 리포트 합니다. 허목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ㆍ학자(1595~1682)로 자는 문보(文甫)ㆍ화보(和甫...신위를 모신 건물을 짓고 본관 건물을 지으며 다시 양쪽에 동재와 서재를 짓고 정문이 있는 그런 방식으로 되어있었습니다. 미연서원은 정면 5칸 측면 2...
경상남도 의령군 공식블로그 "의령이야기"(2022-09-23 17:02:00)
건물로는 정문인 솟을대문의 인지문(仁智門)과 숭정사 · 이의정 · 장판각 · 사적비 등이 있다. 사당인 숭정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다. 강당인 이의정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을 갖춘 기와집으로 가운데는 마루이며, 왼쪽은 2칸, 오른쪽은 1칸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판각에 보관했던...
日暮途遠(2019-11-02 07:4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